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이부인[李夫人] 이 부인은 한 무제(漢武帝)의 후궁으로 얼굴이 아름답고 춤을 잘 추었는데, 그가 한 무제의 총애를 독차지하다가 일찍 죽자 무제는 그를 애처로이 여겨 그의 형모(形貌)를 감천궁(甘泉宮)에 그려 놓고 늘 그를 생각하였으며, 한 번은 방사(方士) 이소군(李少君)에게 부탁하여 이 부인의 신(神)을 맞아오게 하여 그 신을 바라보고서 비감(悲感)을 짓기도 하였다. <漢書 卷九十七 外戚傳> 오얏꽃을 의인화하기도 한다.
❏ 이부청회[吏部淸懷] 이부는 당(唐) 나라 때 이부시랑(吏部侍郞)을 지낸 한유(韓愈)를 가리키는데, 한유는 평소에 이단자(異端者)들을 항상 유자(儒者)로 돌리려는 욕망을 가졌기 때문에 한 말이다.
❏ 이부풍[吏部風] 한유(韓愈)처럼 훌륭하다는 뜻. 한유는 일찍이 이부 시랑(吏部侍郞)이 되었었는데, 그의 문장이 굉심아건(宏深雅健)하여 일가(一家)를 이루었으며, 고문(古文)을 부흥시켜 후세의 사표가 되었다.
❏ 이분명월[二分明月] “二分明月楊州白”이라는 고시를 인용한 것인데 이는 양주의 달이 매우 밝아 천하의 이분을 차지했다는 뜻이다.
❏ 이불유인[而不由人] 논어(論語) 안연(顔淵)에 “하루에 극기복례(克己復禮) 하면 천하가 인(仁)에 돌아온다. 인을 함은 자기를 말미암지 남을 말미암을 것인가?[一日克己復禮天下歸仁焉 爲人由己而由人乎哉]”라고 하였다.
❏ 이불해해지[以不解解之] 글의 뜻을 푸는 데 풀리지 않는 것을 억지로 풀어낸다. 즉, 안 되는 것을 억지로 해석하면 곡해하기 쉽다는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석[李石]~이섭[利涉]~이성[犂星]~이세민[李世民]~이세적[李世勣] (0) | 2020.08.25 |
---|---|
이상동몽[異床同夢]~이상로[圯上老]~이상일편[圯上一篇] (0) | 2020.08.25 |
이산[尼山]~이산[移山]~이상[履霜]~이상[爾相] (0) | 2020.08.25 |
이사부[異斯夫]~이사상동문[李斯上東門]~이사훈[李思訓]~이삭[離索] (0) | 2020.08.25 |
이비[二妃]~이비장[李飛將]~이사[李斯]~이사구[二寺狗]~이사도[李司徒] (0) | 2020.08.25 |
이복[离腹]~이봉향주천[移封向酒泉]~이부[吏部]~이부[貳負] (0) | 2020.08.25 |
이벽[李壁]~이변대주[籬邊對酒]~이보[夷甫]~이보국[李輔國] (0) | 2020.08.25 |
이백[耳白]~이백[二白]~이백양[李伯陽]~이백오십대계[二百五十大戒] (0) | 2020.08.24 |
이반[耏班]~이반[泥蟠]~이반[二班]~이반룡[李攀龍]~이반자여[裏飯子輿] (0) | 2020.08.24 |
이물[離物]~이미수[李眉叟]~이민성[李民宬]~이박임심[履薄臨深] (0) | 2020.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