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이서[彝敍] 이서는 남고(南皐) 윤규범(尹奎範)의 자이다.
❏ 이서기지심서인[以恕己之心恕人] 자기를 용서하는 마음으로 남을 용서하라.
❏ 이석[李石] 이석은 자는 중옥(仲玉)인데, 당 문종(唐文宗) 때 호부 시랑(戶部侍郞)·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를 지냈다.
❏ 이선[珥蟬] 이선은 초선관(貂蟬冠)으로 한대(漢代)의 시중(侍中) 상시(常侍)들이 쓰던 관인데 전(轉)하여 높은 벼슬아치들을 가리킨 것이다.
❏ 이선유감시[履善有感詩] 송(宋) 나라 문천상(文天祥)의 자(字)임. 문천상이 원병(元兵)에게 패하고 연경(燕京) 토굴 속에 갇혀 있으면서 지은 시 중에 유감(有感)이라는 제목이 있다. <文山集 卷20>
❏ 이섭[利涉] 물을 건너는 데 편리하게 해 놓은 것을 말한다.
❏ 이성[李晟] 당(唐) 나라 사람으로 자는 양기(良器)이다. 당 덕종(唐德宗) 때 주자국(朱泚國)을 평정하고 경사(京師)를 수복했다. 덕종은 “天生李晟 以爲社稷 非爲朕也”라고 하였다.
❏ 이성[犂星] 별자리 이름. 이 별자리가 나타나면 봄갈이를 시작한다.
❏ 이세민[李世民] 중국 당(唐)나라의 실질적인 창건자이자 제2대 황제. 묘호는 태종(太宗). 아버지인 고조(高祖) 이연(李淵)을 도와 당의 창건에 결정적 계기가 되었던 반란을 주도했다. 재위기간중 돌궐족을 몰아냈고 중국을 통일했다.
❏ 이세적[李世勣] 본 성명은 서세적(徐世勣), 자는 무공(懋功). 처음에는 이밀(李密)을 섬기다가 당 태종에게 귀순하여 큰 공을 세웠으므로 이(李)로 사성(賜姓)하였다. 그러나 당 태종의 이름이 세민(世民)이기 때문에 세(世)자를 피하여 외 자 이름으로 적(勣)이라 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식[耳食]~이식한[李識韓]~이신[李紳]~이신위마[以神爲馬]~이실[貳室] (0) | 2020.08.25 |
---|---|
이순[耳順]~이승지석[李承旨席]~이시[梨腮]~이시수[二始守] (0) | 2020.08.25 |
이수[貍首]~이수[二豎]~이수전[二竪纏]~이숙황량[已熟黃粱] (0) | 2020.08.25 |
이소걸해도[二疏乞骸圖]~이소부[離騷賦]~이소사대[以小事大]~이소향초[離騷香草] (0) | 2020.08.25 |
이소[李愬]~이소[離騷]~이소[離疎]~이소[二疏] (0) | 2020.08.25 |
이상동몽[異床同夢]~이상로[圯上老]~이상일편[圯上一篇] (0) | 2020.08.25 |
이산[尼山]~이산[移山]~이상[履霜]~이상[爾相] (0) | 2020.08.25 |
이사부[異斯夫]~이사상동문[李斯上東門]~이사훈[李思訓]~이삭[離索] (0) | 2020.08.25 |
이비[二妃]~이비장[李飛將]~이사[李斯]~이사구[二寺狗]~이사도[李司徒] (0) | 2020.08.25 |
이부인[李夫人]~이부청회[吏部淸懷]~이분명월[二分明月]~이불유인[而不由人] (0) | 2020.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