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이산[尼山] 산동성(山東省) 곡부현(曲阜縣) 동남쪽에 있다. 공자의 아버지 숙량흘(叔梁紇)이 어머니 안씨(顔氏)와 함께 이구산(尼丘山)에 기도하여 공자를 얻었으므로 이름을 구()라 하고, 자를 중니(仲尼)라 했다. <史記 孔子世家>

이산[移山] 우공(愚公)이 산을 옮긴 고사를 말한다. 북산(北山)에 사는 우공이 나이가 90에 가까웠는데, 집 앞에 태행산(太行山)과 왕옥산(王屋山) 두 산이 가로막고 있어서 출입하기가 불편하였으므로 그 산을 없애어 평평하게 할 결심을 하였다. 지수(智叟)가 그 일을 이루지 못할 것을 알고는 우공의 어리석음을 비웃었다. 그러자 우공은 내가 죽으면 내 아들이 있고 아들이 죽으면 손자가 있어서 자자손손 끊이지 않을 것이다. 산은 더 높아지지 않으니 어찌 이루지 못할 리가 있겠는가.”라고 하면서 날마다 쉬지 않고 산을 파내었다. 그러자 상제(上帝)가 산을 옮겨 주었다 한다. <列子 湯問우공이산(愚公移山).

이산[飴山] 청 나라 시인 조집신(趙執信)의 별호이다.

이산해[李山海] 자는 여수(汝受), 호는 아계(鵝溪)로 의정까지 되었으며 71세의 나이로 죽었다.

이상[履霜] 주역(周易) 곤괘(坤卦) 초육효사(初六爻辭)서리를 밟고 나면 두터운 얼음이 얼게 된다.[履霜堅冰至]”라 하였고, 시경(詩經 소아(小雅) 소민(小旻)깊은 못에 임한 듯하고 살얼음을 밟듯이 한다.[如臨深淵 如履薄冰]”고 하였다.

이상[爾相] 신부(新婦)를 말한다. 의례(儀禮) 사혼례(士婚禮), 아비가 친영(親迎)하러 가는 아들에게 술을 따라 주는 초례(醮禮)를 행하면서 어서 가서 너의 짝을 맞이하여, 우리 집안 제사(祭祀)의 일을 이어받도록 하라.[往迎爾相 承我宗事]”고 명하는 말이 나온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