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이백[耳白] 송대(宋代)의 문장가 구양수(歐陽脩)가 소년 시절에 어느 중이 관상(觀相)을 보고는, 귀가 얼굴보다 희어서 이름을 천하에 날리겠다고 하였다 한다. <東坡志林>
❏ 이백[二白] 우리나라의 태백산(太白山)과 소백산(小白山)을 합칭한 말이다.
❏ 이백고풍[李白古風] 이백의 고풍. 그의 고풍은 총 59수이다.
❏ 이백삼배대도통[李白三盃大道通] 이백의 월하독작시(月下獨酌詩)에 “석 잔을 마시면 대도를 통하고 한 말을 마시면 자연과 부합되네[三盃通大道 一斗合自然]” 한 데서 온 말이다. <李太白詩集 卷二十二>
❏ 이백약[李白藥] 당(唐) 나라 사람. 자는 중규(重規). 종정경(宗正卿)이 되어 자작(子爵)을 받았다.
❏ 이백양[李伯陽] 노자(老子)의 자(字)이다.
❏ 이백양광[李白佯狂] 당 나라의 시인 이백이 채석산(采石山) 아래 강에서 노닐다가 술에 취해 달을 잡겠다고 물속으로 뛰어들어 죽었다는 고사를 두고 한 말이다.
❏ 이백오십대계[二百五十大戒] 구족계(具足戒)와 같은 것. 열반(涅槃)에 친근하다는 뜻인데, 이는 비구·비구니가 받아 지킬 계법으로 비구는 250계 비구니는 348계이다. 이 계를 받으려는 이는 젊은이로서 몸이 튼튼하여 죄과가 없고 사미계(沙彌戒)를 받은 이에 한한다.
❏ 이백헌[李白軒] 이경석(李景奭)의 호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사부[異斯夫]~이사상동문[李斯上東門]~이사훈[李思訓]~이삭[離索] (0) | 2020.08.25 |
---|---|
이비[二妃]~이비장[李飛將]~이사[李斯]~이사구[二寺狗]~이사도[李司徒] (0) | 2020.08.25 |
이부인[李夫人]~이부청회[吏部淸懷]~이분명월[二分明月]~이불유인[而不由人] (0) | 2020.08.25 |
이복[离腹]~이봉향주천[移封向酒泉]~이부[吏部]~이부[貳負] (0) | 2020.08.25 |
이벽[李壁]~이변대주[籬邊對酒]~이보[夷甫]~이보국[李輔國] (0) | 2020.08.25 |
이반[耏班]~이반[泥蟠]~이반[二班]~이반룡[李攀龍]~이반자여[裏飯子輿] (0) | 2020.08.24 |
이물[離物]~이미수[李眉叟]~이민성[李民宬]~이박임심[履薄臨深] (0) | 2020.08.24 |
이문[理問]~이문[夷門]~이문[移文]~이문원[摛文院] (0) | 2020.08.24 |
이목우[李牧牛]~이목지신[移木之信]~이몽양[李夢陽] (0) | 2020.08.24 |
이막[李漠]~이매[魑魅]~이모[嬭母]~이모반랑[二毛潘郞]~이목[李牧] (0) | 2020.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