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이무[李袤] 조선조 숙종 때 문신으로 자는 연지(延之), 호는 과암(果菴), 헌종 1년에 대사간이 되었으나 복상문제(服喪間題)로 서인(西人)을 탄핵하던 윤선도(尹善道)가 유배되자 사직하였다.
❏ 이무관[李懋官] 무관은 이덕무(李德懋)의 자이다.
❏ 이묵경[伊墨卿] 청 나라 이병수(伊秉綬). 묵경은 그의 호. 시와 글씨에 능하였다.
❏ 이묵장[李墨庄] 묵장(墨莊)은 청 나라 면주(緜州) 사람 이정원(李鼎元)의 자. 호는 사죽재(師竹齋)이다.
❏ 이문[理問] 벼슬 이름. 원대(元代) 행중서성(行中書省)의 형명(刑名)을 감핵(勘核)하는 벼슬이다.
❏ 이문[夷門] 위나라 도성 대량성(大梁城)의 동문(東門)을 말한다.
❏ 이문[夷門] 전국시대 위(魏) 나라 대량(大梁) 땅의 성곽 동문으로, 당시의 고사(高士)후영(侯贏)이 은거했던 곳이다. 곧 대은(大隱)이 숨어 있는 저자를 뜻한다.
❏ 이문[移文] 이문(移文)는 관문서(官文書)의 일종. 남제(南齊) 공치규(孔穉圭)가 지은 북산이문(北山移文)에 “종산의 신령과 초당의 신령이 역로를 달려 산정에 이문을 새겼다[鍾山之英草堂之靈馳煙驛路勒移山庭].”라는 말이 있다. 내용은 주옹(周顒)이 북산에 함께 은거하다가 뒤에 약속을 어기고 조명(詔命)에 응하여 해염령(海鹽令)이 되었는데 나중에 다시 돌아와 숨으려 하므로 공치규는 산령의 뜻을 빌어 이문(移文)하여 못 오게 하였다.
❏ 이문[移文] 이문(移文)은 여러 사람이 돌려보도록 쓴 글을 말한다. 남제(南齊) 때 사람 공치규(孔稚圭)가 지은 북산이문(北山移文)이 있는데, 고사(高士) 주언륜(周彦倫)이 북산에 은거하여 명망이 있었는데, 후에 세상에 나가 해염현령(海鹽縣令)이 되었다가 다시 벼슬을 그만두고 북산으로 들어가려 하자, 공치규가 산신(山神)의 뜻을 가탁(假託)하여 거절한 내용이다. <古文眞寶 北山移文>
❏ 이문원[摛文院] 규장각(奎章閣)의 이칭. 원래는 어진(御眞)·어제(御製)·어필(御筆)·선원보첩(璿源譜牒)내부 서적(內府書籍)등 주로 왕실의 유물과 전적들을 보관 관리하는 일을 맡은 관청으로 창덕궁에 있었는데, 정조 5년(1781)에 규장각 관원들의 숙직소로 이용되기 시작하면서 이어 규장각의 별칭이 되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복[离腹]~이봉향주천[移封向酒泉]~이부[吏部]~이부[貳負] (0) | 2020.08.25 |
---|---|
이벽[李壁]~이변대주[籬邊對酒]~이보[夷甫]~이보국[李輔國] (0) | 2020.08.25 |
이백[耳白]~이백[二白]~이백양[李伯陽]~이백오십대계[二百五十大戒] (0) | 2020.08.24 |
이반[耏班]~이반[泥蟠]~이반[二班]~이반룡[李攀龍]~이반자여[裏飯子輿] (0) | 2020.08.24 |
이물[離物]~이미수[李眉叟]~이민성[李民宬]~이박임심[履薄臨深] (0) | 2020.08.24 |
이목우[李牧牛]~이목지신[移木之信]~이몽양[李夢陽] (0) | 2020.08.24 |
이막[李漠]~이매[魑魅]~이모[嬭母]~이모반랑[二毛潘郞]~이목[李牧] (0) | 2020.08.24 |
이릉지화[李陵之禍]~이리[涖涖]~이리간[伊里干]~이립[而立] (0) | 2020.08.24 |
이루[離婁]~이류[異類]~이륙[二陸]~이릉[夷陵]~이릉매기[李陵埋旗] (0) | 2020.08.24 |
이려[易旅]~이려[伊廬]~이련[二連]~이로[李老]~이료[夷獠] (0) | 2020.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