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의복[倚伏] 화(禍)와 복(福)이 무상하게 변전(變轉)하는 것을 말한다. 노자(老子) 58장(章)에 “화 속에 복이 의탁해 있고 복 속에 화가 숨어 있나니 누구라서 그 끝이 어딘 줄 알랴.[禍兮福之所倚 福兮禍之所伏 孰知其極]”라는 말이 있다.
❏ 의복관이좌[衣服冠而坐] 예기(禮記) 옥조(玉藻)에 “거센 바람과 맹렬한 천둥과 심한 비가 있을 적에는 밤중이라도 반드시 일어나 옷을 입고 관(冠)을 쓰고 앉아 있어야 한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의복무궁사[倚伏無窮事] 노자(老子) 58장에 “화는 복 속에 기대어 있고, 복은 화 속에 엎드려 있으니, 누구라서 그 끝을 알 수가 있겠는가.[禍兮福之所倚 福兮禍之所伏 孰知其極]”라는 말이 있다.
❏ 의봉기국척[蟻封驥跼蹐] 개밋둑은 작은 것을 의미함이요, 기마는 훌륭한 솜씨를 비유한 것으로서 곧 좋지 못한 시체를 본받다가 훌륭한 솜씨를 버리게 된다는 말이다.
❏ 의봉혈우[蟻封穴雨] 개미가 자기들의 집 구멍을 막으면 큰 비가 올 징조라고 한다.
❏ 의불경신하유이고[衣不更新何由而故] 옛것도 새것이었을 때가 있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진(晉)나라의 환거기(桓車騎; 桓沖)는 새 옷 입기를 무척 싫어하여 항상 낡은 옷만 입고 다녔다. 하루는 그가 목욕을 한 후에 부인에게 옷을 가져오라고 하자, 그의 부인은 일부러 새 옷을 가져다주었다. 그는 새 옷을 보자마자 몹시 노하여 빨리 가져라가고 소리쳤다. 부인은 다시 옷을 가져다주며 이렇게 말했다. “옷은 새것이 낡아서 헌옷이 되는 것, 그렇지 않으면 무슨 방법으로 헌옷이 되리요?” 그러자 환거기(桓車騎)는 크게 웃으며 새 옷을 입었다. <世說新語(세설신어) 賢媛(현원)>
❏ 의불급물유불향[儀不及物猶不享] 서경(書經)에 “향(享)하는 데는 의(儀)가 많아야 하고 의(儀)가 물(物)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향(享)하지 아니하는 것이다[享多儀 儀不及物 曰不享].”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예물보다 예의(禮儀)가 부족하면 대접[享]하지 않는 것과 같다는 뜻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주자약[倚柱自若]~의죽[義竹]~의중지인[意中之人]~의천검[倚天劒] (0) | 2020.08.23 |
---|---|
의이방[薏苡謗]~의장[意匠]~의전[衣纏]~의전[蟻戰]~의제[義帝] (0) | 2020.08.23 |
의위[儀衛]~의의[依依]~의의[猗猗]~의의[懿懿]~의이거[薏苡車] (0) | 2020.08.23 |
의승신비[義勝身肥]~의심암귀[疑心暗鬼]~의심판[疑心板]~의양[宜陽] (0) | 2020.08.23 |
의상초초[衣裳楚楚]~의소[宜笑]~의수[宜脩]~의수죽[倚修竹] (0) | 2020.08.23 |
의문려[倚門閭]~의문지망[倚門之望]~의미심장[意味深長]~의발[衣鉢] (0) | 2020.08.23 |
의마[倚麻]~의마심원[意馬心猿]~[倚馬作]~의몽[蟻夢]~의무산[毉巫山] (0) | 2020.08.23 |
의로인거[義路仁居]~의료[宜僚]~의루명[倚樓名]~의루인[倚樓人] (0) | 2020.08.23 |
의돈[猗頓]~의란[猗蘭]~의란조[猗蘭調]~의려[倚廬]~의려지망[依閭之望] (0) | 2020.08.23 |
의기[欹器]~의기양양[意氣揚揚]~의남초[宜男草]~의니[旖旎]~의담농[宜淡濃] (0) | 2020.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