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의로인거[義路仁居] 맹자(孟子) 이루(離婁) 상에 “인(仁)은 사람의 안택(安宅)이요, 의(義)는 사람의 정로(正路)이니라.”라고 하였다.
❏ 의료[宜僚] 성은 웅(熊). 춘추 시대 초(楚)의 용사(勇士)로 구슬을 잘 다루어, 여덟 개는 늘 공중에 떠 있고 한 개만이 손에 쥐어져 있었다. 어느 때 초와 송(宋)이 싸우게 되었는데, 그가 가슴을 헤치고 칼을 맞고도 군전(軍前)에 서서 구슬을 놀리므로 송의 군사가 싸움을 잊고 구경하다가 패하게 되었다.
❏ 의루[倚樓] 누각의 난간에 기대다. 기다림의 뜻으로 많이 쓰는 표현이다.
❏ 의루[倚樓] 조하(趙嘏)가 지은 장안추석(長安秋夕)이라는 칠언율시의 제4구에 나오는 말인데, 두목(杜牧)이 바로 그 구절을 무척이나 좋아하였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이 조하를 조의루라고 칭하기까지 하였다. 참고로 그 시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雲物凄涼拂曙流 漢家宮闕動高秋 殘星數點雁橫塞 長笛一聲人倚樓 紫艶半開籬菊淨 紅衣落盡渚蓮愁 鱸魚正美不歸去 空戴南冠學楚囚”
❏ 의루명[倚樓名] 뛰어난 시인의 명성을 말한다. 당(唐) 나라 시인 조하(趙嘏)의 시 ‘조추(早秋)’에 “몇 점 남은 별빛 속에 기러기는 변방을 질러가고, 한가락 피리 소리 속에 사람은 누대에 기대 있네.[殘星幾點雁橫塞 長笛一聲人倚樓]”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두목(杜牧)이 이 표현을 너무도 좋아한 나머지 그를 조의루(趙倚樓)라고 불렀다는 고사가 전한다. <唐摭言 知己>
❏ 의루인[倚樓人] 당(唐) 나라 조하(趙嘏)의 시에 “몇 점 희미한 별 떠 있는 변방 하늘에 기러기 날아가고, 어디선가 들리는 구슬픈 피리 소리에 한 사람 누각에 기대어 섰네.[殘星幾點雁橫塞 長笛一聲人倚樓]”라는 구절이 있는데, 두목(杜牧)이 이에 탄복한 나머지 조하를 조의루(趙倚樓)라고 부르기 시작하면서부터, 조씨(趙氏) 성을 가진 사람을 의루인이라고 칭하게 되었다. <全唐詩話, 摭言>
❏ 의릉[懿陵] 경종(景宗)의 능(陵)을 말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승신비[義勝身肥]~의심암귀[疑心暗鬼]~의심판[疑心板]~의양[宜陽] (0) | 2020.08.23 |
---|---|
의상초초[衣裳楚楚]~의소[宜笑]~의수[宜脩]~의수죽[倚修竹] (0) | 2020.08.23 |
의복무궁사[倚伏無窮事]~의봉혈우[蟻封穴雨]~의불급물유불향[儀不及物猶不享] (0) | 2020.08.23 |
의문려[倚門閭]~의문지망[倚門之望]~의미심장[意味深長]~의발[衣鉢] (0) | 2020.08.23 |
의마[倚麻]~의마심원[意馬心猿]~[倚馬作]~의몽[蟻夢]~의무산[毉巫山] (0) | 2020.08.23 |
의돈[猗頓]~의란[猗蘭]~의란조[猗蘭調]~의려[倚廬]~의려지망[依閭之望] (0) | 2020.08.23 |
의기[欹器]~의기양양[意氣揚揚]~의남초[宜男草]~의니[旖旎]~의담농[宜淡濃] (0) | 2020.08.23 |
의국수[醫國手]~의금경의[衣錦褧衣]~의금사귀[衣錦思歸]~의금상경[衣錦尙絅] (0) | 2020.08.23 |
의공신[衣功臣]~의관미적월[衣冠迷適越]~의관장세[倚官丈勢]~의구[衣篝] (0) | 2020.08.23 |
의개조란[倚蓋鳥卵]~의갱명환[蟻坑名宦]~의거[義渠]~의골[義鶻] (0) | 2020.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