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을사사[乙巳事] 을사사화(乙巳士禍)를 말한다. 이때 김인후(金麟厚)는 장성(長城)으로 낙향하여 학문에 몰두하였다. 임형수는 제주 목사(濟州牧使)로 좌천되었다가 다음해에 일어난 벽서사건(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나주의 본가로 돌아와 있었다. 그 뒤 정언각(鄭彦慤)의 주장으로 사사(賜死)되었는데, 사약을 마셨으나 죽지 않자 목을 찔러 자살하였다고 한다.
❏ 을을[乙乙] 하나하나, 낱낱이.
❏ 을축갑자[乙丑甲子] 갑자을축(甲子乙丑)이 바른 차례인데, 그 차례가 바뀌는 것과 같이 일이 제대로 안 되고 순서가 바뀌는 것을 비유하여 일컫는 말이다.
❏ 음강대정[陰康大庭] 태고 때의 임금들이라 한다.
❏ 음갱[陰鏗] 음갱은 진(晉) 나라 사람으로 자는 자견(子堅)인데 사전(史傳)에 박통하고 더욱 오언시에 능하였다.<陳書 卷四百七十二> 두보 시에 “李侯有佳句 往往似陰鏗”이 있고, 또 “頗學陰何苦用心”의 글귀가 있다.
❏ 음견[吟肩] 음견은 시를 읊을 때 어깨를 으쓱거리며 위로 치켜올리는 모습을 표현한 것인데, 소식(蘇軾)의 시에 “그대는 또 못 보았는가 눈 속에 나귀탄 맹호연을, 시 읊느라 찌푸린 눈썹 산처럼 솟은 두 어깨를.[又不見雪中騎驢孟浩然 皺眉吟詩肩聳山]”이라는 명구(名句)가 있다. <蘇東坡詩集 卷12 贈寫眞何充秀才>
❏ 음관[陰官] 음관은 우사(雨師)를 말한다.
❏ 음교[陰敎] 음(陰)의 교화, 즉 후비(后妃)의 덕을 말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음[崟崟]~음음[淫淫]~음음[愔愔]~음인무사[飮因無事]~음일[淫溢] (0) | 2020.08.22 |
---|---|
음양삼합[陰陽三合]~음양지환[陰陽之患]~음와[淫洼]~음용[音容] (0) | 2020.08.22 |
음산[陰山]~음선[飮仙]~음송백[蔭松柏]~음애[霠皚]~음약석상배[吟藥昔相陪] (0) | 2020.08.22 |
음방[淫放]~음부[陰腐]~음부경[陰符經]~음분[淫奔]~음빙[飮氷] (0) | 2020.08.22 |
음덕양보[陰德陽報]~음덕유이명[陰德猶耳鳴]~음마투전[飮馬投錢]~음묵[飮墨] (0) | 2020.08.22 |
은화옥척[銀花玉尺]~은환[銀丸]~은황[銀潢]~을과[乙科]~을람[乙覽] (0) | 2020.08.22 |
은풍준시[殷豐蹲柹]~은필[銀筆]~은해[銀海]~은허[殷墟]~은호[殷瑚] (0) | 2020.08.22 |
은죽[銀竹]~은지[銀地]~은청[銀靑]~은탕한[殷湯旱]~은토[銀免] (0) | 2020.08.22 |
은전[銀錢]~은정조갱[殷鼎調羹]~은정화염[殷鼎和塩]~은졸[隱卒]~은종몽[殷宗夢] (0) | 2020.08.22 |
은은[狺狺]~은인자중[隱忍自重]~은인청수[銀印靑綬]~은일[隱逸] (0) | 2020.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