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음담패설[淫談悖說] 음탕하고 상스런 이야기.
❏ 음덕양보[陰德陽報] 숨은 덕이 있는 자는 반드시 분명하게 드러나는 보답이 있음. 남모르게 덕을 쌓는 사람은 반드시 뒤에 복을 받음을 이른다.
❏ 음덕유이명[陰德猶耳鳴] 음덕은 남이 모르게 은혜를 베푸는 것인데, 그것은 귀가 우는 것과 같아서, 자기만 알고 다른 사람은 모르는 것이다.
❏ 음려[陰沴] 음양의 기운이 조화를 잃어 음기(陰氣)가 치성한 나머지 천지 사이에 일어나는 재해를 이른다.
❏ 음림리반붕[淫霖裏飯朋] 옛날 자여(子輿)와 자상(子桑)은 친한 친구였는데, 10일 동안 장마가 지자, 자여는 “자상이 병들었을 것이다.”라 하고는 밥을 싸가지고 가서 먹였다 한다. <莊子 大宗師>
❏ 음마장성굴행[飮馬長城窟行] 장성(長城) 아래 천굴(泉窟)이 있어 수졸(戍卒)들이 그곳에서 말에게 물을 먹인 것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진 노래인데, 진 시황(秦始皇)이 호(胡)를 방어하기 위해 장성을 쌓을 적에 수졸들의 고통이 이루 말할 수 없었고 죽은 시체가 성 아래 즐비하였으므로, 한 수졸의 부인이 남편의 근로(勤勞)함을 생각하여 이 곡을 지었다 한다.
❏ 음마투전[飮馬投錢] 말에게 물을 마시게 할 때 먼저 돈을 물 속에 던져서 물 값을 갚는다는 뜻으로, 결백한 행실을 이른다.
❏ 음묵[飮墨] 수서(隋書) 예의지(禮儀志)에 “글자를 빠뜨리거나 오자(誤字)를 쓴 사람은 불러내어 좌석 뒷자리에 서 있게 하고, 글씨가 용렬한 자에게는 벌로 먹물 한 되를 마시게 했다.”고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즐[陰騭]~음찬[音讚]~음택반어[吟澤畔漁]~음파[飮罷]~음풍농월[吟風弄月] (0) | 2020.08.22 |
---|---|
음음[崟崟]~음음[淫淫]~음음[愔愔]~음인무사[飮因無事]~음일[淫溢] (0) | 2020.08.22 |
음양삼합[陰陽三合]~음양지환[陰陽之患]~음와[淫洼]~음용[音容] (0) | 2020.08.22 |
음산[陰山]~음선[飮仙]~음송백[蔭松柏]~음애[霠皚]~음약석상배[吟藥昔相陪] (0) | 2020.08.22 |
음방[淫放]~음부[陰腐]~음부경[陰符經]~음분[淫奔]~음빙[飮氷] (0) | 2020.08.22 |
을을[乙乙]~을축갑자[乙丑甲子]~음갱[陰鏗]~음견[吟肩]~음교[陰敎] (0) | 2020.08.22 |
은화옥척[銀花玉尺]~은환[銀丸]~은황[銀潢]~을과[乙科]~을람[乙覽] (0) | 2020.08.22 |
은풍준시[殷豐蹲柹]~은필[銀筆]~은해[銀海]~은허[殷墟]~은호[殷瑚] (0) | 2020.08.22 |
은죽[銀竹]~은지[銀地]~은청[銀靑]~은탕한[殷湯旱]~은토[銀免] (0) | 2020.08.22 |
은전[銀錢]~은정조갱[殷鼎調羹]~은정화염[殷鼎和塩]~은졸[隱卒]~은종몽[殷宗夢] (0) | 2020.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