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음방[淫放] 더욱 드러나다.
❏ 음부[陰腐] 몰래 썩혀 놓다.
❏ 음부[陰符] 음부경(陰符經)으로 황제(黃帝)가 지었다 하는 병서(兵書)이다. 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의 병가류(兵家類)에 “태공음부금록(太公陰符鈐錄) 1권과 주서음부(周書陰符) 9권이 있으며, 태공(太公)·범려(范蠡)·귀곡자(鬼谷子)·장량(張良)·제갈량(諸葛亮)·이전(李筌) 등 6가(家)의 주가 있는 것이 태공음부(太公陰符)다.”하였다.
❏ 음부경[陰符經] 전국책(戰國策)에 태공 여상(呂尙)이 지은 병법서라고 전해지나 실전되어 전해지지 않는다. 지금 전해지는 음부경(陰符經)이라는 책은 황제가 저술했다고 하며 후에 태공(太公), 범려(范蠡), 귀곡자(鬼谷子), 장량(張良), 제갈량(諸葛亮), 이전(李筌) 등의 주가 달려있는 병법서라기보다는 일종의 도가서이다. 이전(李筌)은 입산하여 신선이 되었다는 당나라 때의 도가(道家)다.
❏ 음부편[陰符編] 병서(兵書)인 음부경(陰符經)을 말하는데, 혹은 이를 황제(黃帝)가 지은 것이라 하고, 혹은 이를 주(周) 나라 강태공(姜太公)이 지은 것이라고 하는 등 여러 가지 설이 있다.
❏ 음분[淫奔] 음분은 남녀가 서로 좋아하여 쫓아다니는 것을 말한다.
❏ 음빙[飮氷] 사신으로 가라는 명을 받고 두려움에 속이 타서 얼음을 먹는 것을 말한다. 옛날에 섭공(葉公) 자고(子高)가 제(齊) 나라에 사신으로 가게 되었는데, 공자(孔子)에게 말하기를 “아침에 사신으로 가라는 명을 받고는 저녁에는 얼음을 먹었는데도[今吾朝受命而夕飮氷] 저의 몸 안은 근심으로 인해 타들어 갑니다.”하였다. <莊子 人間世>
❏ 음빙[飮氷] 청고(淸苦)한 생활을 비유한다. 백거이(白居易)의 삼년위자사시(三年爲剌史詩)에 “삼 년 동안 자사로 있으면서, 얼음을 마시고 또 황벽을 먹었네[三年爲刺史 飮氷復食檗].”한 데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하[飮霞]~음하복[飮河腹]~음화[陰火]~음회세위[飮灰洗胃]~읍고[泣辜] (0) | 2020.08.22 |
---|---|
음즐[陰騭]~음찬[音讚]~음택반어[吟澤畔漁]~음파[飮罷]~음풍농월[吟風弄月] (0) | 2020.08.22 |
음음[崟崟]~음음[淫淫]~음음[愔愔]~음인무사[飮因無事]~음일[淫溢] (0) | 2020.08.22 |
음양삼합[陰陽三合]~음양지환[陰陽之患]~음와[淫洼]~음용[音容] (0) | 2020.08.22 |
음산[陰山]~음선[飮仙]~음송백[蔭松柏]~음애[霠皚]~음약석상배[吟藥昔相陪] (0) | 2020.08.22 |
음덕양보[陰德陽報]~음덕유이명[陰德猶耳鳴]~음마투전[飮馬投錢]~음묵[飮墨] (0) | 2020.08.22 |
을을[乙乙]~을축갑자[乙丑甲子]~음갱[陰鏗]~음견[吟肩]~음교[陰敎] (0) | 2020.08.22 |
은화옥척[銀花玉尺]~은환[銀丸]~은황[銀潢]~을과[乙科]~을람[乙覽] (0) | 2020.08.22 |
은풍준시[殷豐蹲柹]~은필[銀筆]~은해[銀海]~은허[殷墟]~은호[殷瑚] (0) | 2020.08.22 |
은죽[銀竹]~은지[銀地]~은청[銀靑]~은탕한[殷湯旱]~은토[銀免] (0) | 2020.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