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요아정[蓼莪情] 효자(孝子)가 부모의 봉양을 뜻대로 하지 못하여 슬퍼하는 정을 이른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요아(蓼莪)에 “저 장대한 풀을 쑥인 줄 알았더니, 쑥이 아니고 다른 풀일세. 불쌍하신 우리 부모님, 날 낳으시느라 수고하셨네.[蓼蓼者莪 匪莪伊蒿 哀哀父母 生我劬勞]”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요아채[蓼芽菜] 요아채는 가장 이른 봄에 나오는 야채인데, 소식의 원일시(元日詩)에 “봄 쟁반의 요아채는 보기가 기쁘구나.[喜見春盤得蓼芽]”라고 하였다.
❏ 요아편[蓼莪篇] 진(晉) 나라 왕부(王裒)가 시경(詩經) 소아(小雅) 요아편(蓼莪篇)의 ‘슬프다 우리 부모, 나를 낳아 얼마나 고생하셨나.[哀哀父母 生我劬勞]’라는 대목을 읽을 때마다, 참형(斬刑)을 당한 부친을 생각하며 눈물을 흘리곤 하였으므로, 수업받는 문인들이 아예 육아편을 폐(廢)하려고 했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晉書 孝友 王裒傳>
❏ 요야[遙夜] 긴 밤.
❏ 요야공근궁토궤[遼野空勤躬土簣] 당 나라 태종이 고구려를 정벌하다가 안시성(安市城) 전투에서 패한 뒤 철수하면서 이곳을 지날 적에 진창에 길이 막혀 전진할 수가 없었다. 이에 군사들을 시켜서 흙과 나무로 진창을 메우게 하였는데, 태종도 직접 흙과 나무를 등에 지고 날라서 메웠다고 한다. <新唐書 卷220 東夷列傳 高麗>
❏ 요양[遼陽] 중국 요령성(遼寧省) 안에 있는 고을 이름이다. 진한(秦漢) 시대에는 요동군(遼東郡)을 두었고, 진(晉) 이후로는 고구려(高句麗)에 속했었는데, 당 고종(唐高宗)이 고구려와 싸워 이기고는 그곳에다 요양현을 두었다.
❏ 요역[堯曆] 요 임금의 역서는 요 임금의 뜰에 명협(蓂莢)이란 서초(瑞草)가 나서 매달 15일 경에는 하루에 한 잎씩 피고, 16일부터는 한 잎씩 떨어지므로, 이것을 보아 역서(曆書)를 만들었다 한다.
❏ 요열[搖悅] 마음이 산란하고 놀라다.
❏ 요와증[饒瓦甑] 공자가 진채(陳菜)에서 포위를 당하여 7일 동안을 굶다가 와증(瓦甑)의 밥을 받아먹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천일재[寥天一齋]~요체[拗體]~요초[妖草]~요치[淖齒] (0) | 2019.12.23 |
---|---|
요주[遼柱]~요지연[瑤池宴]~요지유[繞指柔] (0) | 2019.12.20 |
요조[繞朝]~요조숙녀[窈窕淑女]~요조편[繞朝鞭]~요좌[遼左] (0) | 2019.12.19 |
요전[堯典]~요전가학[腰錢駕鶴]~요전뢰[繞殿雷]~요제[褭蹄] (0) | 2019.12.18 |
요요[嫋嫋]~요요[嶢嶢]~요원지화[爎原之火]~요장[瑤漿] (0) | 2019.12.17 |
요사[姚姒]~요서지일지[鷯棲只一枝]~요수수통매[燎鬚隨痛妹]~요심충[蓼心蟲] (0) | 2019.12.13 |
요무성[了無聲]~요봉[堯封]~요부관물[堯夫觀物]~요부하사음[堯夫何事吟] (0) | 2019.12.12 |
요량[遶梁]~요령부득[要領不得]~요료[寥寥]~요명[窈冥] (0) | 2019.12.11 |
요동[撓棟]~요동시[遼東豕]~요동학[遼東鶴]~요락일[搖落日] (0) | 2019.12.10 |
요년[堯年]~요뇨[騕褭]~요당배수개위주[坳堂杯水芥爲舟] ~요대식성[要待識聲] (0) | 2019.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