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요천[蓼川] 요천은 남원(南原)에 있는 천명(川名)이다.

요천일[寥天一] 휑하게 빈 곳으로 너무 적요하여 하늘과 일반이라는 뜻이다. <莊子 大宗師>

요천일재[寥天一齋]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자연의 질서에 순응하여 변화해 가면서 마침내 적요한 하늘의 일자(一者)에 동화해 들어간다.[安排而去化 乃入於寥天一]”라고 하였다.

요첩[瑤牒] 후비 등을 책봉하고 칭송하는 글발을 적어 새긴 간책(簡冊)으로 옥책(玉冊) 등을 말한다.

요체[拗體] 율시(律詩)나 절구(絶句)로서 평측(平側)을 따지지 않은 것. ()는 비뚤어지고 꼬부라진 것인데, ()에 요체(拗體)란 것은 음운(音韻)이 보통의 시와 다른 것이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 시인으로는 정지상(鄭知常)의 작품이 106,7은 요체에 속하는데, 녹양폐호팔구옥 명월권렴삼사인(綠揚閉戶八九屋 明月捲簾三四人) 등의 글귀가 그런 것이다.

요초[潦艸] ’의 잘못인데 요초는 일이 조솔(粗率)함을 말한다. 주자의 훈학재규(訓學齋規)무릇 글씨를 씀엔 씀이 잘 되었나 못 되었나 여하는 물을 것이 없고, 더욱이 중요한 것은 반드시 한 붓과 한 획이 엄정하고 분명하게 흘려 갈겨쓰면 안 된다.[寫字未問工拙如何 且要一筆一畫嚴正分明 不可老艸]”라 하였다.

요초[妖草] 담배(南靈草)의 별칭이다. 담배를 오랫동안 피던 사람이 끊으려 하나 좀처럼 끊을 수 없기 때문에 요초(妖草)’라고도 하였다.

요초[瑤草] 선경에서 자란다는 진기한 풀.

요치[淖齒] 태어난 해는 알 수 없고 기원전 284년에 죽은 전국시대 초나라 장수다. 도치(悼齒) 혹은 탁치(卓齒)라고도 한다. 기원전 284년 연나라가 삼진(三晋) 및 진()나라와 연합하여 제나라를 공격할 때 그는 초왕의 명을 받고 군사를 이끌고 제나라를 구원하기 위해 출동했다. 제민왕은 요치를 제나라 상국에 임명했다. 제민왕이 5국 연합군에 쫓겨 거()로 들어오자 요치는 제민왕의 다리에서 힘줄을 뽑아 대들보에 메달아 죽이고 제나라 영토와 재물들을 연나라와 나누어 가지려고 했다. 제민왕을 모시던 왕손고가 이끄는 거성의 백성들의 습격을 받고 살해되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