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오작희[烏鵲喜] 오래 헤어졌다가 다시 만나는 기쁨을 말한다. 견우(牽牛)와 직녀(織女)의 두 별이 일 년에 한 번 칠월 칠석날 만날 때 까막까치가 은하수에 다리를 놓는다는 전설에서 유래한 것이다. <月令廣義 七月令 註>

오잡조[五雜俎] 고악부의 이름으로, 수구(首句)를 편명으로 삼은 것인데, 후인들이 그 체를 모방함으로 인하여 일종의 시체(詩體)가 된 것이라 한다.

오잡조[五雜組] 시체(詩體)의 한 가지. 옛 악부(樂府)의 하나로 삼언(三言)으로 된 구() 여섯을 한 수로 하고, 맨 머리구로 편() 이름을 한다. <文體明辯 雜體詩>

오장[五漿] 오장은 다섯 집에서 음료수를 준 것을 말한다. 장자(莊子) 열어구(列禦寇)열자(烈子)가 길을 가다가 열 집 음식점에서 마실 것을 사먹었는데, 이중 다섯 집에서는 그를 존경하여 사기도 전에 먼저 주었다.”라고 하였다.

오장군[烏將軍] 돼지의 별칭임이다.

오장육부[五臟六腑] 내장의 총칭이다.

오재[五材] 육도(六韜) 용도(龍韜)에 나오는 용(), (), (), (), ()으로, 무덕(武德)을 가리킨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