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오제[五齊] 옛날 술 만드는 법인데, 청탁(淸濁)을 분간하여 5등을 만든 것이다. 주례 천관 주정에 “오재(五齊)의 이름을 변(辨)하는데, 1은 범재(汎齊), 2는 예재(醴齊), 3은 앙재(盎齊), 4는 제재(緹齊), 5는 침재(沈齊)이다.”라고 하였다.
❏ 오제[五齊] 오제는 나물을 잘게 썰어 요리한 다섯 종류의 술안주로 맛좋은 음식이다.
❏ 오제[五齊] 제사에 쓰는 다섯 가지의 술, 즉 범제(泛齊)·예제(醴齊)·앙제(盎齊)·제제(緹齊)·침제(沈齊)의 술을 통칭하여 일컫는 말. 술을 만들 때 차례로 걸러내어 이 다섯 가지 술을 만드는데, 범제·예제는 탁한 술이며, 앙제·제제·침제는 맑은 술이다.
❏ 오제[五帝] 오제는 황제(黃帝)・전욱(顓頊)・제곡(帝嚳)・요(堯)・순(舜)이라고도 하고, 소호(少昊)・전욱・제곡・요・순이라는 등 여러 말이 있다.
❏ 오조[午曹] 오(午)가 말[馬]을 뜻하는 데서 유래하여 사마(司馬), 즉 병조(兵曹)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 오조사정[烏鳥私情] 까마귀가 자라면 그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먹이듯 그처럼 부모를 모시는 지극한 효심을 이르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 오족[烏足] 질경이[車前草] 풀 속에 울서(鬱棲)라는 벌레가 들어가 있으면 오족(烏足)이라는 풀로 변한다고 한다. <列子 天瑞>
❏ 오종[五宗] 불교 대승(大乘)의 오종(五宗)은 천태종(天台宗)・화엄종(華嚴宗)・법상종(法相宗)・삼론종(三論宗)・율종(律宗) 등이다.
❏ 오종[五鐘] 청종(靑鐘)・적종(赤鐘)・황종(黃鐘)・경종(景鐘)・흑종(黑鐘)을 말한다.
❏ 오종[五宗] 한경제(漢景帝)는 그 슬하에 모두 14명의 아들을 두었다. 그 중 한 사람이 한무제(漢武帝)이고 나머지 13명이 모두 제후왕(諸侯王)에게 봉해졌다. 13명은 모두 다섯 여인들 소생이었다. 이에 5명의 여인들을 모두 모친으로 여겨 같은 종친으로 지낸다고 해서 오종이라고 한 것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쾌[伍噲]~오타운[五朶雲]~오토[於菟]~오투육[烏偸肉] (0) | 2019.08.05 |
---|---|
오초칠국란[吳楚七國亂]~오총구[五總龜]~오출빙[五出氷]~오칠[烏漆] (0) | 2019.08.02 |
오천문[五千文]~오천장[五千章]~오체[吳體]~오체투[五體投] (0) | 2019.08.01 |
오진[五辰]~오질[吳質]~오창문슬[午窓捫蝨]~오채필[五彩筆] (0) | 2019.07.31 |
오주기주철[誤鑄幾州鐵]~오중은[吳中隱]~오지비유[惡知非有] (0) | 2019.07.30 |
오정식[五鼎食]~오정역사[五丁力士]~오정오산[鰲頂五山]~오정팽[五鼎烹] (0) | 2019.07.24 |
오작희[烏鵲喜]~오잡조[五雜組]~오장[五漿]~오재[五材] (0) | 2019.07.23 |
오자[吳子]~오자[五齊]~오자서[伍子胥]~오자수[伍髭鬚] (0) | 2019.07.22 |
오이[五餌]~오이소[五餌疎]~오일경조[五日京兆]~오일사천사[五日斜川事] (0) | 2019.07.19 |
오위[五衛]~오유선생[烏有先生]~오음[五陰]~오의왕사연[烏衣王謝燕] (0) | 2019.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