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오위[五緯] ()()()()()5()을 말한다.

오위[五衛] 이조(李朝)의 병제(兵制), 중앙에 용양위(龍驤衛) 등의 오위제도가 있었는데, 도총관(都摠管)이 통솔한다.

오유[遨遊] 멋대로 놀다.

오유선생[烏有先生] 상식적으로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사람을 뜻하는 고사성어이다.

오유자[烏有子] 오유(烏有)는 어찌 있겠느냐는 뜻인데, 오유자(烏有子)는 실제로 없는 공상적(空想的)인 인물로 쓰는 것이다.

오윤[五閏] 당 나라와 송 나라의 중간에 후량(後梁)후당(後唐)후진(後晉)후한(後漢)후주(後周)의 오대(五代)가 있었다.

오음[五陰] 오음은 팔고(八苦)의 하나인 오음성고(五陰盛苦)를 가리킨다. 오음은 오온(五蘊)과 같은 것으로 색온(色蘊)수온(受蘊)상온(想蘊)행온(行蘊)식온(識蘊)을 가리키는데, 곧 중생을 이루어 놓은 이 오음이 치성(熾盛)하여서 일어나는 고통을 말하며, 또 오음이 뭇 괴로움을 담았다고 하기도 한다.

오음[五音] 음률의 기본이 되는 궁(), (), (), (), ()를 말한다.

오의[烏衣] 오의는 제비의 별칭이다.

오의왕사연[烏衣王謝燕] 오의는 제비의 이명. () 나라 때 왕씨(王氏)사씨(謝氏)의 귀족(貴族)들이 살던 오의항(烏衣巷)에 많았기 때문에 이름이다. () 나라 유우석(劉禹錫)의 오의항시(烏衣巷詩)주작교 가에 들풀이 꽃피었는데, 오의항 입구에 석양이 비꼈네. 옛날 왕씨 사씨 당 앞의 제비가 심상한 백성 집에 날아드누나.[朱雀橋邊野草花 烏衣巷口陽斜 舊時王謝堂前燕 飛入尋常百姓家]”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