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아관[衙官] 심부름하는 사무원을 이른다.
❏ 아광[牙曠] 백아(伯牙)와 사광(師曠)으로 모두 옛날 음악의 명수(名手)이다.
❏ 아광모[砑光帽] 하얀 광택이 있는 베로 만든 모자이다.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에 “여양왕(汝陽王) 진(璡)이 아광모를 쓰고 곡(曲)을 치니 명황(明皇)이 손수 근화(槿花)를 가져다 모자 위에 놓았는데 모자가 워낙 미끄러워 한참 뒤에야 근화가 정착되었다.”라고 하였다.
❏ 아교[阿膠] 아교(阿膠)는 탁한 물을 맑게 하는 약이다. 포박자(抱朴子)에 “한 치의 아교를 가지고는 황하의 탁한 물을 맑게 할 수 없다.”라 하였다.
❏ 아교[阿嬌] 아교는 한(漢) 나라 때 진오(陳午)의 딸인데, 한 무제(漢武帝)가 어렸을 적에 아교를 얻어 금옥(金屋)에 두고 길러서 무제가 즉위한 후에는 그를 황후로 삼아 대단히 총애하였다.
❏ 아구검[鴉九劍] 장아구(張鴉九)가 만든 칼. 풍유(諷諭)에 보인다.
❏ 아군롱리기[鵞群籠裏寄] 옛날 허언(許彦)이란 사람이 길에서 한 서생(書生)을 만났는데, 그가 다리가 아프다면서 거위 농[鵞籠] 속에 들어가 거위와 함께 있기를 요구하므로, 허언이 장난삼아 그렇게 하도록 허락하자, 그 서생이 농 속으로 들어가 거위들과 함께 앉아 놀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續齊諧記>
❏ 아군환서[鵝群換書] 왕희지(王羲之)가 본디 거위를 좋아하는데 산음(山陰) 도사(道士)의 집에 좋은 거위가 있어 황정경(黃庭經)만 써 주면 거위 떼 전부를 다 주겠다는 소문을 듣고 희지는 기뻐하여 황정경(黃庭經)을 다 써주고 거위 전체를 거두어 돌아갔다고 한다. <晉書 卷八十 王羲之傳>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매[阿每]~아미가필[蛾眉呵筆]~아미반[蛾眉班] (0) | 2017.01.11 |
---|---|
아라길[阿剌吉]~아롱서생[鵝籠書生]~아만[阿瞞] (0) | 2017.01.10 |
아도[阿堵]~아도[阿道]~아동호석탕[兒童呼蜥蝪] (0) | 2017.01.09 |
아난[阿難]~아노목하전가업[阿奴目下傳家業]~아대중랑[阿大中郞] (0) | 2017.01.06 |
아금[牙琴]~아기비황정[鵝豈費黃庭]~아나함[阿那含] (0) | 2017.01.05 |
쌍학계영기[雙鶴啓塋基]~아가[雅歌]~아계견[鵝溪絹] (0) | 2017.01.03 |
쌍정[雙旌]~쌍주[雙珠]~쌍충묘[雙忠廟] (0) | 2017.01.02 |
쌍어[雙魚]~쌍운회문[雙韻廻文]~쌍일[雙日] (0) | 2016.12.29 |
쌍석[雙舃]~쌍성가절[雙星佳節]~쌍아탁곤[雙鵝坼坤] (0) | 2016.12.28 |
쌍모[雙旄]~쌍봉사[雙峯寺]~쌍비[雙碑] (0) | 2016.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