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아난[阿難] 원래의 이름은 아난타(阿難陀), 여래(如來)의 사촌 동생으로 십대제자(十大弟子)의 하나. 25세에 출가하여 25년 동안이나 여래를 모셨으며 미남인 탓으로 여자의 유혹이 여러 번 있었지만 지조가 견고하여 불법을 잘 수행했으며 특히 설법(說法)을 많이 전파하여 다문(多聞)으로 유명하였다.
❏ 아녀[兒女] 아녀(兒女)는 유왕(幽王)의 총희(寵姬)였던 포사(褒姒)를 말한다. 포사를 총애하다가 유왕은 견융(犬戎)에게 시해되고 평왕(平王)이 동천(東遷)한 뒤로 주 나라는 쇠약해졌다. 이 때문에 시경(詩經) 왕풍(王風) 서리편(黍離篇)은 대부(大夫)가 옛날의 주 나라의 도읍터를 지나다가 슬퍼하여 지은 시이며, 포사 때문에 주 나라가 망했으므로 특히 소아(小雅)에는 포사를 원망한 시가 많다.
❏ 아녀풍운[兒女風雲] 양(梁) 나라 종영(鍾嶸)의 시품(詩品)에 “장화(張華)의 시는 그 체가 화려하여 홍탁이 기이하지 않고 문자만을 교묘하게 써서 곱게 다듬기만을 힘쓰니 비록 일대에 이름은 높았지만 통달한 선비들은 그 시를 아녀의 정이 많고 풍운의 정은 적은 것을 한하였다.”라 하였다.
❏ 아노목하전가업[阿奴目下傳家業] 진(晉) 나라 주의(周顗)의 모친인 이씨(李氏)가 귀하게 된 아들 세 사람에게 술잔을 주며 “너희들이 모두 내 눈앞에 서 있으니 내가 다시 무슨 걱정이 있겠는가.[列吾目前 吾復何憂]”라고 하자, 둘째 아들인 주숭(周嵩)이 ‘자기 자신이나 형인 주의(周顗)는 모두 성격이나 재질면에 문제가 있어 오래 가지 못하겠지만, 오직 아노(阿奴)만은 녹록하니 모친의 눈 아래에서 오래도록 모시고 있게 될 것[唯我奴碌碌 當在 阿母目下耳]’이라고 말했는데, 과연 그 말대로 되었다는 고사가 전한다. 아노는 막내 동생인 주모(周謨)의 어렸을 때 자(字)이다. <晉書 卷96 列女傳 周顗母李氏>
❏ 아대중랑[阿大中郞] 숙부(叔父)를 가리키는 말이다. 진(晉) 나라 때 사안(謝安)의 형인 혁(奕)의 딸 도운(道韞)이 왕응지(王凝之)에게 시집을 간 처음 친정에 와서 매우 불쾌하게 여기자, 사안이 이르기를 “왕랑(王郞; 왕응지)은 일소(逸少; 왕희지(王羲之)의 자)의 아들인데 네가 무엇을 한하느냐?”하니, 사도운이 대답하기를 “우리 일문(一門)의 숙부로는 아대(阿大)와 중랑(中郞)이 있고, 뭇 종형제들로는 또 봉(封)·호(胡)·갈(羯)·말(末)이 있는데, 뜻밖에도 천지 사이에 왕랑 같은 자가 있었습니다.”라 한 데서 온 말인데, 아대는 곧 사안을 가리킨 말이고, 중랑은 곧 사안의 아우로서 역시 문재(文才)가 뛰어나서 간문제(簡文帝)로부터 특별히 종사중랑(從事中郞)에 발탁되었던 사만(謝萬)을 가리킨 말이다. <晋書 卷九十六>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부영[亞夫營]~아불멸[我不滅]~아비규환[阿鼻叫喚] (0) | 2017.01.13 |
---|---|
아박수[兒拍手]~아배각[兒輩覺]~아부견와[亞夫堅臥] (0) | 2017.01.12 |
아매[阿每]~아미가필[蛾眉呵筆]~아미반[蛾眉班] (0) | 2017.01.11 |
아라길[阿剌吉]~아롱서생[鵝籠書生]~아만[阿瞞] (0) | 2017.01.10 |
아도[阿堵]~아도[阿道]~아동호석탕[兒童呼蜥蝪] (0) | 2017.01.09 |
아금[牙琴]~아기비황정[鵝豈費黃庭]~아나함[阿那含] (0) | 2017.01.05 |
아광모[砑光帽]~아군롱리기[鵞群籠裏寄]~아군환서[鵝群換書] (0) | 2017.01.04 |
쌍학계영기[雙鶴啓塋基]~아가[雅歌]~아계견[鵝溪絹] (0) | 2017.01.03 |
쌍정[雙旌]~쌍주[雙珠]~쌍충묘[雙忠廟] (0) | 2017.01.02 |
쌍어[雙魚]~쌍운회문[雙韻廻文]~쌍일[雙日] (0) | 2016.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