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쌍정[雙旌] 사자(使者)가 가지고 다니는 기(), 또는 관찰사의 의장(儀仗)을 가리킨다. () 나라 때 절도사나 관찰사에게는 조정을 하직하는 날 쌍정(雙旌)과 쌍절(雙節)을 하사하였던 고사가 있다. <新唐書 百官志 4>

쌍정행리[雙旌行李] 임금의 명을 받들고 지방으로 부임하는 수령이라는 뜻이다. 쌍정은 당() 나라 때 지방 장관의 의장(儀仗), 행리는 사자(使者)를 가리킨다.

쌍조[雙鳥] 한유(韓愈)의 오언 고시(五言古詩) 가운데 쌍조시(雙鳥詩)’라는 장시(長詩)가 있는데, 이 쌍조(雙鳥)를 두고 이백(李白)과 두보(杜甫), 불교(佛敎)와 도교(道敎), 한유 자신과 맹교(孟郊)라는 각각 다른 주해(注解)들이 있다. ‘쌍조시는 한창려집(韓昌黎集) 5에 수록되어 있다. 한편 참고로 소식(蘇軾)의 시 가운데 化爲兩鳥鳴相酬 一鳴一止三千秋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는 동파(東坡)가 이백(李白)의 화상(畫像)을 접하고 지은 시로서, 여기서의 양조(兩鳥)는 분명히 이백과 두보를 가리키고 있다. <蘇東坡詩集 卷37 書丹元子所示李太白眞>

쌍주[雙珠] 형제 두 사람이 모두 출중한 것을 이르는 말이다. () 나라 공융(孔融)이 위원장(韋元將)과 중장(仲將) 두 형제를 보고는 그 부친 위휴보(韋休甫)에게 편지를 보내기를 늙은 조개 속에서 진주 두 알이 나올 줄은 생각지도 못하였다.[不意雙珠生于老蚌]”고 한 고사가 있다. <三輔決錄>

쌍척후[雙隻堠] ()는 곧 흙을 쌓아 돈대를 만들어서 이수(里數)를 표기한 것인데, 10리마다 쌍후(雙堠)를 두고 5리마다 척후(隻堠)를 두었다고 한다.

쌍청[雙淸] 마음가짐과 하는 일이 다 깨끗함을 말한다.

쌍충묘[雙忠廟] 이대원(李大源)과 정운(鄭運)의 위패를 모신 쌍충사(雙忠祠), 순천도호부 관내 흥양원(興陽縣)에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