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아매[阿每] 일본국(日本國)을 가리킨다. 옛날 그 국왕(國王)의 성이 아매씨였으므로 이른 말이다. <唐書 日本傳>
❏ 아매[阿買] 한유 조카의 소명(小名)이다. 한유의 ‘취증장비서시(醉贈張祕書詩)’에 “아매는 문자는 몰라도 제법 팔분(八分)은 쓸 줄 안다.[阿買不識字 頗知書八分]”라 하였다.
❏ 아명[阿明] 동해(東海)의 귀신 이름이다. <事物異名錄 神鬼 海神>
❏ 아모[砑帽] 아광모(砑光帽)라고도 부르며, 무자(舞者)들이 쓰던 것으로 검은 윤기가 많이 나는 모자의 일종이다.
❏ 아문[牙門] 아문은 아기(牙旗)를 꽂은 진영의 문으로 관가를 뜻한다.
❏ 아미[蛾眉] 누에나방의 눈썹, 즉 미인을 뜻하는 말이다.
❏ 아미가필[蛾眉呵筆] 당 나라 이태백(李太白)이 궁중에서 글을 쓰는데, 날씨가 매우 추워서 붓이 얼어 쓸 수가 없었다. 궁녀 열 사람이 이태백을 좌우에서 모시고 입으로 붓을 불어서 녹여 주었다.
❏ 아미도[峨嵋圖] 송(宋)의 소식(蘇軾)이 호주(湖州)에서 귀양살이 할 때 그곳 하남성 겹현(郟縣)에 있는 아미산(峨眉山)이 자기 고향 촉(蜀)에 있는 아미산과 모양이 닮았다 하여, 작은 아미산이라고 이름을 붙이고 그 아미산을 그리면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달랬다고 한다. 그 산 위에 삼소사(三蘇祠)가 있다.
❏ 아미반[蛾眉班] 조반(朝班)에 끼는 것을 뜻한다. 당(唐) 나라 때 동서(東西)로 마주하여 서 있는 양성(兩省)의 공봉관(供奉官)을 달리 일렀던 말이다. 몽계필담(夢溪筆談) 고사(故事)에 “당 나라 제도에 양성(兩省)의 관리들이 동서로 마주서는 것을 아미반이라 한다.”라 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양[峨洋]~아양귀상음[峩洋貴賞音]~아양수화절현금[峩洋誰和絶絃琴] (0) | 2017.01.18 |
---|---|
아수라장[阿修羅場]~아승지추녀[阿承之醜女]~아아양양[峨峨洋洋] (0) | 2017.01.17 |
아사[餓死]~아상복[迓祥服]~아손유홀역만상[兒孫有笏亦滿床] (0) | 2017.01.16 |
아부영[亞夫營]~아불멸[我不滅]~아비규환[阿鼻叫喚] (0) | 2017.01.13 |
아박수[兒拍手]~아배각[兒輩覺]~아부견와[亞夫堅臥] (0) | 2017.01.12 |
아라길[阿剌吉]~아롱서생[鵝籠書生]~아만[阿瞞] (0) | 2017.01.10 |
아도[阿堵]~아도[阿道]~아동호석탕[兒童呼蜥蝪] (0) | 2017.01.09 |
아난[阿難]~아노목하전가업[阿奴目下傳家業]~아대중랑[阿大中郞] (0) | 2017.01.06 |
아금[牙琴]~아기비황정[鵝豈費黃庭]~아나함[阿那含] (0) | 2017.01.05 |
아광모[砑光帽]~아군롱리기[鵞群籠裏寄]~아군환서[鵝群換書] (0) | 2017.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