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수지[首止] 제환공(齊桓公)이 제후(諸侯)들을 모은 땅이름이다.
❏ 수지청즉무어[水至淸則無魚]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없다.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숨을 곳이 없으므로 살지 않는다. 사람이 너무 야박하거나 지나치게 똑똑하면 다른 사람들이 그를 두려워하고 피하여 벗을 사귀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 수집수[數集壽] 수집은 수재(數載)와 같은 뜻으로 곧 나이가 많은 것을 나타내는 말인데, 이 말의 기원은 회남자(淮南子) 전언훈(詮言訓)의 ‘수잡(數雜)의 수(壽)’라는 데서 온 것이다. 회남자(淮南子)의 주에 의하면 수잡의 잡(雜)은 잡(帀)의 뜻으로, 곧 60~70세의 나이를 말한 것이다.
❏ 수차유가우[隨車有嘉雨] 동한(東漢)의 정홍(鄭弘)이 회음 태수(淮陰太守)가 되어 혜정(惠政)을 베풀었는데, 그의 수레가 지나가는 곳마다 단비가 내려 오랜 가뭄을 해갈시켰다는 고사가 있다. <後漢書 卷33 鄭弘傳>
❏ 수창[水蒼] 수창은 대부의 패옥(佩玉)인 수창옥(水蒼玉)의 준말이다.
❏ 수천라의[水濺羅衣] 미인(美人)과 노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는 뜻이다. 당(唐) 나라 함통(咸通) 연간에 회남(淮南) 이공(李公)이 강(江)에서 놀 때, 뱃사공이 상앗대를 잘못 놀려 이공 시녀(侍女)의 옷에 물이 튀기자 이공이 난색을 지으니, 마침 자리를 함께 했던 막좌(幕佐) 배여경(裵餘慶)이 문득 이공에게 시(詩)를 지어 바치기를 “아황처럼 얼굴 고와라 금사(金絲)의 옷이요, 물총새 깃 수식 흔들려라 옥비녀 드리웠네. 이왕에 물 튀겨 비단 저고리 젖었으니, 아마도 무산 신녀가 저녁 비에 돌아왔나봐.[半額鵝黃金縷衣 翠趐浮動玉釵垂 從敎水濺羅襦濕 疑是巫山行雨歸]”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향[睡鄕]~수현문[守玄文]~수형전[水衡錢] (0) | 2016.07.08 |
---|---|
수하탐환[樹下探環]~수해[繡獬]~수행[遂行] (0) | 2016.07.07 |
수판[手板] ~ 수포[獸袍] ~ 수풍[樹風] (0) | 2016.07.05 |
수칭성[水秤星]~수탄[獸炭]~수택[隋澤] (0) | 2016.07.04 |
수천지우[垂天之羽]~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수초부[遂初賦] (0) | 2016.07.01 |
수중동해[袖中東海]~수중미로[手中薇露]~수즉다욕[壽則多辱] (0) | 2016.06.29 |
수족지애[手足之愛]~수좌[首座]~수주대토[守株待免] (0) | 2016.06.28 |
수제하상당금포[手製荷裳當錦袍]~수조가[水調歌]~수조랑[水曹郞] (0) | 2016.06.27 |
수정궁궐[水晶宮闕]~수제[隋隄]~수제양류[隋堤楊柳] (0) | 2016.06.24 |
수재수재[水哉水哉]~수적천석[水滴穿石]~수정[修靜] (0) | 2016.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