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쇄옥두[碎玉斗] 옥두(玉斗)는 옥으로 만든 술을 뜨는 구기이다. 초한(楚漢) 시대 항왕(項王)과 패공(沛公)이 홍문(鴻門)의 잔치에 회동했을 때, 항왕의 모신(謀臣)인 범증(范增)이 항왕에게 패공을 죽이라는 뜻으로, 자기가 차고 있던 옥결(玉玦)을 세 번이나 들어보이며 자주 눈짓을 하였으나, 항왕이 그 말을 속히 듣지 않음으로써, 마침내 신변의 위험을 느낀 패공은 몰래 그 곳을 빠져나가버렸는데, 이윽고 그 자리에 남아있던 패공의 모신 장량(張良)이 패공의 빠져나간 사실을 해명함과 동시에 항왕에게는 백벽(白璧) 한 쌍[一雙]을 각각 바치자, 항왕은 아무 말 없이 이것을 받았으나, 범증은 이것을 받아 땅에 놓고 칼을 뽑아 그것을 쳐서 부서버리고는 말하기를 “한탄스럽다, 어린 것과는 큰 일을 꾀할 수가 없구나. 항왕의 천하를 빼앗을 자는 틀림없이 패공이다.”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史記 項羽紀>
❏ 쇄우[鎩羽] 쇄우는 새를 날아가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우모(羽毛)를 잘라 놓는 것이다. 문선(文選) 좌사(左思) 촉도부(蜀都賦)에 “鳥鎩翮 獸敗足”이라 하였는데 쇄핵(鎩翮)은 쇄우와 같은 말이다.
❏ 쇄일[曬日] 책을 꺼내 볕에다 말리는 날이다.
❏ 쇄장참[碎長鑱] 보습을 부수다. 농사나 짓고 산수 속에 조용히 사는 것이 옳았는데, 잘못 벼슬을 하게 되었다는 뜻이다.
❏ 수[銖] 1량의 1/24로 지금의 단위로는 0.67gram 이다.
❏ 수[繻] 옛날에 관문(關門)을 출입할 때 명주 조각을 부신(符信) 대신으로 썼다. 부신을 가리킨다.
❏ 수[數] 운명.
❏ 수[首] 지금의 하남성 수현(睢縣) 동남의 주당진(周堂鎭) 부근을 말한다.
❏ 수가자[手可炙] 세력이 불꽃같아서 손에 닿으면 손을 지질만큼 뜨겁다는 뜻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구군[水口君]~수구여병[守口如甁]~수구염[手灸炎] (0) | 2016.05.31 |
---|---|
수공묵수[輸攻墨守]~수공장리[垂拱張理]~수관불[水觀佛] (0) | 2016.05.30 |
수경급고정[脩綆汲古井]~수계[修禊]~수곡주[羞曲肘] (0) | 2016.05.30 |
수견[隨肩]~수결[受玦]~수경[水經] (0) | 2016.05.30 |
수간개석준상고[須看介石遵常固]~수간사마[授簡司馬]~수거감우[隨車甘雨] (0) | 2016.05.27 |
쇄부거[碎副車]~쇄산호[碎珊瑚]~쇄수[碎首] (0) | 2016.05.27 |
송화[頌花]~쇄금[碎金]~쇄복중서[曬腹中書] (0) | 2016.05.26 |
송추비구[誦箒比丘]~송파[松坡]~송한갈도[松閒喝道] (0) | 2016.05.26 |
송조[宋朝]~송창계[宋窓鷄]~송추만목배근원[松楸滿目培根遠] (0) | 2016.05.26 |
송양지인[宋襄之仁]~송연[松煙]~송옥부웅풍[宋玉賦雄風] (0) | 2016.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