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소파[小坡] 소동파(蘇東坡)의 막내 아들 과(過)의 별칭이다.
❏ 소파오가[笑破吳家] 서시(西施)는 춘추(春秋) 때 월(越) 나라 미녀의 이름이다.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회계(會稽)에서 패한 뒤에, 그의 모신(謀臣) 범여(范蠡)가 서시를 오왕(吳王) 부차(夫差)에게 바치자, 마침내 오 나라의 정사가 어지럽게 되어서 멸망하기까지에 이른 사실(史實)을 인용하여 말한 것이다.
❏ 소평[少平] 소평은 후한 때의 직신 동선(董宣)의 자인데, 광무제(光武帝) 때에 호양공주(湖陽公主)의 종[奴]이 사람을 죽였으므로, 당시 낙양령(洛陽令)으로 있던 동선이 그를 잡아다 죽이었다. 그러자 공주가 이 일을 임금께 하소연한 결과, 마침내 임금이 동선을 잡아다 놓고 공주에게 사과를 하라고 하였으나 듣지 않자, 억지로 머리를 조아리게 하니, 동선이 두 팔로 땅을 힘껏 버티어 끝내 머리를 숙이지 않으므로, 임금이 마침내 강항령(强項令)을 내보내라고 명했던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七十七>
❏ 소평[邵平] 진(秦) 나라 동릉후(東陵侯)로, 진 나라가 망한 뒤에 포의(布衣)로 가난하게 살면서 장안(長安) 성 동쪽에 오이 밭을 일구며 유유자적하게 은사(隱士)의 생활을 즐겼다. <史記 蕭相國世家>
❏ 소평과[召平瓜] 소평과는 진(秦)의 유민인 소평(召平)이 장안성(長安城) 동편에 오이[瓜]를 심어서 그것이 유명하였으므로 과(瓜) 자를 붙여 소평과라 한 것인데 소하(蕭何)가 승상(丞相)이 되어 5천 호(戶)의 봉작(封爵)을 받자 소평이 소하에게 “임금에게 의심을 받기가 쉬우니 봉작을 사양하고 받지 말라.”고 하였으나 듣지 않다가 화를 입었다. <史記 蕭相國世家>
❏ 소평과포[邵平瓜圃] 은거(隱居)하고 있다는 뜻이다. 소(邵)는 소(召)로도 쓴다. 사기(史記) 권54에 “평은 진(秦)이 망하자 시골에 은거하여, 장안성(長安城) 동쪽에 외를 심었는데 외맛이 좋았으므로 세속에서 동릉과(東陵瓜)라 하였다.” 한다.
❏ 소평포[邵平圃] 소평(邵平)이 진(秦) 나라 때 동릉후에 봉해졌는데, 진 나라가 멸망한 뒤에는 가난한 선비의 신분으로 장안(長安)의 성(城) 동쪽에 오색과(五色瓜)를 심어서 생활을 영위했던 데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홍사[小紅詞]~소활[召滑]~소흥패[疏興粺] (0) | 2016.05.16 |
---|---|
소호[少昊]~소호사[少昊司]~소호흘제유기미[小狐汔濟濡其尾] (0) | 2016.05.13 |
소해성홍[少海星虹]~소허[巢許]~소혜선기도[蘇蕙璿璣圖] (0) | 2016.05.13 |
소한린호묘[蕭閒早已隣湖泖]~소한화[消恨花]~소해가[少海歌] (0) | 2016.05.13 |
소풍군[小馮君]~소하[蘇嘏]~소하한중[蕭何漢中] (0) | 2016.05.12 |
소탁[宵柝]~소태부[蕭太傅]~소통국[蘇通國] (0) | 2016.05.12 |
소초[小草]~소축시[小畜詩]~소춘[小春] (0) | 2016.05.11 |
소처[小妻]~소천[蘇天]~소체[召遞] (0) | 2016.05.11 |
소진왕[小秦王]~소진인폐구[蘇秦忍敝裘]~소찬[素饌] (0) | 2016.05.11 |
소주[蘇州]~소준[蘇峻]~소진[蘇秦] (0) | 2016.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