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소음[所愔] 과도하게 술을 먹고 질탕하게 노니는 것을 말한다. () 나라 좌사(左思)위도부(魏都賦)’잔치를 벌이고 흥겹게 술을 마시며 노닌다.[愔愔醧讌]”라는 말이 나오고, 그 주()에 또 한시(韓詩)음음야음(愔愔夜飮)’이라는 말이 있다.”라 하였다.

소음[篠飮] 육비(陸飛)의 호이다.

소의[宵衣] 소의간식(宵衣旰食)의 약칭이다. 날이 새기 전에 정장을 하고 날이 저문 뒤에 식사한다는 뜻이다. 임금이 정사에 부지런함을 말한다. 당서(唐書)소한의 근심이 없다.[無宵旰之憂]”라고 하였다.

소의간식[宵衣肝食] 날이 새기 전[未明]에 일어나 옷을 입고, 해가 진 뒤에 저녁밥을 먹음. 왕이 정사(政事)에 힘쓰는 것을 말한다. <당서(唐書)>

소이[蘇二] 소이는 송() 나라 소식(蘇軾)을 가리킨다.

소이위현혜[素以爲絢兮] ‘흰 것으로써 아름다움을 이루었네라는 뜻으로, 일실되어 지금은 전해지지 않은 시의 일부다.

소인[宵人] 소인(小人)과 같다.

소인[騷人] 소인의 소()는 굴원(屈原)이 지은 이소경(離騷經)에서 나온 말로, () 나라 굴원(屈原)이 임금에게 쫓겨나 상강(湘江) 가에 방랑하면서 이소(離騷)를 지었는데, ()는 시름이란 뜻이다. 즉 근심에 걸린 것을 뜻하는데, 후대에 내려오면서 그냥 시인을 말할 때 쓰이게 되었다. 본래는 시인을 의미하는 말이지만, 선비, 사대부 등 지조 있는 지식인을 말하기도 한다.

소인[小人] 지위 낮은 백성을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