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소씨구의[蘇氏舊意] 진(晉) 나라 때 장군(將軍) 두도(竇滔)가 사막(沙漠)에 강제로 옮겨지자, 그의 아내 소약란(蘇若蘭)이 비단을 짜면서 거기에 즉 전후좌우로 아무렇게 보아도 다 말이 되는 매우 처절한 내용의 회문선도시(回文旋圖詩)를 지어 넣어서 남편에게 보냈던 데서 온 말인데, 그 시는 모두 8백 40자(字)로 되었다고 한다. <晉書 竇滔妻蘇氏傳>
❏ 소씨제[蘇氏弟] 소식(蘇軾)의 아우 소철(蘇轍)을 말한다. 소철이 소년 시절 공부하는 동안 자기 형 소식을 따라 독서하면서 하루도 서로 떨어져 있는 날이 없었는데, 그 후 벼슬길에 오르면서는 형제가 함께 있는 날이 적었다. 언젠가 위응물(韋應物)의 시 “누가 알리 비 오고 바람 부는 밤에, 또다시 침상을 마주하고 자련지[那知風雨夜 復此對牀眠]”를 읽고서는 서글픈 생각을 금치 못하고, 일찍 벼슬을 버리고 한가로이 지내는 즐거움을 함께 누리자고 약속하였다는 것이다.
❏ 소아[素娥] 서왕모가 남편에게 준 불사약(不死藥)을 훔쳐 먹고 달 속으로 도망가 달의 선녀가 되었다는 항아(姮娥)를 가리킨다.
❏ 소아난기강[小兒亂紀綱] 소아는 이보국(李輔國)을 가리키며, 서내(西內)는 태극궁(太極宮)을 말하고 고 장군(高將軍)은 고역사(高力士)를 가리킨다. 상황(上皇)인 현종(玄宗)이 파촉에서 돌아와 흥경궁(興慶宮)에 거처했으며 장경루(長慶樓)에 자주 나오니 부로(父老)들은 그 앞을 지나다가 우러러보고 만세를 불렀다. 이에 숙종에게 불리하다고 생각한 이보국은 장후(張后)와 짜고는 황제의 명령이라 사칭한 다음, 상황을 대내로 옮기고 상황의 심복인 고역사를 무주(巫州)로 귀양보냈으며, 진현례(陳玄禮)를 강제로 치사(致仕)시키니, 상황은 기뻐하지 않아 이 때문에 고기도 먹지 않고 벽곡(辟穀)하다가 병이 들어 세상을 떠났다. <新唐書 肅宗本紀>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왕[素王]~소요각석[蘇繇刻石]~소요결[逍遙訣] (0) | 2016.04.29 |
---|---|
소옹적벽[蘇翁赤壁]~소옹해상[蘇翁海上]~소와롱환[邵窩弄丸] (0) | 2016.04.29 |
소영윤[小令尹]~소옹루[邵雍樓]~소옹영해익탐선[蘇翁嶺海益耽禪] (0) | 2016.04.29 |
소언[蘇堰]~소여난봉[嘯如鸞鳳]~소영빈[蘇穎濱] (0) | 2016.04.28 |
소아욕투비[宵雅欲投畀]~소애[少艾]~소양왕[昭襄王] (0) | 2016.04.28 |
소슬요락[蕭瑟搖落]~소식담수월[蘇軾談水月]~소심익익[小心翼翼] (0) | 2016.04.27 |
소수수[小垂手]~소순[蔬筍]~소순기[蔬荀氣] (0) | 2016.04.27 |
소소문[嘯蘇門]~소소육미도불관[簫韶肉味都不管]~소송부창주[蘇頌赴滄州] (0) | 2016.04.27 |
소소[簫韶]~소소구성봉래상[韶簫九成鳳來翔]~소소단원악[蘇嘯但阮愕] (0) | 2016.04.26 |
소선[小鮮]~소선학[蘇仙鶴]~소성재동[小星在東] (0) | 2016.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