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서하(西河] 지금의 섬서성 서쪽의 땅으로 황하와 낙수 사이의 땅을 말한다. 전국 때 진(秦)과 위(魏) 두 나라가 이 땅을 두고 오랫동안 다투었다.
❏ 서하[西河] 산서성과 섬서성을 가르는 황하의 중국의 서북의 황토고원에서 발원하여 위수(渭水)에 합류하는 낙수(洛水)의 이동 지역에 설치한 전국 때 위(魏)나라 령이다. 전국시대 명군인 위문후(魏文侯)가 명장 오기(吳起)를 기용하여 진나라로부터 빼앗아 설치한 군현이다.
❏ 서하삭거[西河索居] 서하는 공자의 제자 자하(子夏)를 가리키고, 삭거는 벗을 떠나 홀로 외로이 살고 있는 것을 말한다. 자하가 서하에서 노년을 보내던 중 아들의 죽음에 충격을 받아 상명(喪明)을 하고는 증자(曾子)의 꾸지람을 받자 “내가 벗들을 떠나 혼자 살다보니 그렇게 되었다[吾離群而索居 亦已久矣]”고 사과했던 고사가 있다. <禮記 檀弓上>
❏ 서하통[西河慟] 아들을 잃은 아비의 슬픔을 말한다. 서하는 전국시대 위(魏)나라 땅으로 오늘날의 섬서(陝西) 동부와 황하(黃河) 서쪽의 일대인데, 공자의 문인 자하(子夏)가 서하에 있을 때 아들을 잃은 슬픔에 통곡하다가 실명(失明)했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자식을 잃은 슬픔을 말할 때 흔히 인용된다. <史記 仲尼弟子傳>
❏ 서학[書鶴] 공치규(孔稚圭)의 북산이문(北山移文)에 “학서(鶴書)가 언덕 위로 달려온다.”라고 한 주에 “한(漢) 나라 때 선비를 초빙하는 편지를 마치 학의 머리처럼 쓰는 전자체(篆字體)를 이용한 까닭에 그 편지 명칭을 학두서(鶴頭書)라 했다.”라 하였다.
❏ 서함구수영용혈[鼠銜窶籔寧容穴] 세상에 용신(容身)하기 어려움을 비유한 말이다. 한(漢) 나라 때 양운(楊惲)의 말에 “쥐가 굴을 들어가지 못하는 것은 또아리를 물었기 때문이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계룡[石季龍]~석고가[石鼓歌]~석과부지[碩果扶持] (0) | 2016.02.24 |
---|---|
석갑천년자기함[石匣千年紫氣含]~석거각[石渠閣]~석경[石鯨] (0) | 2016.02.23 |
석가만석[石家萬石]~석가측의향[石家厠衣香]~석갈[釋褐] (0) | 2016.02.23 |
서호팔경도[西湖八景圖]~서화[西華]~서희수묵도[徐熙水墨圖] (0) | 2016.02.23 |
서혈재통[鼠穴纔通]~서호농말여서시[西湖濃抹如西施]~서호처사[西湖處士] (0) | 2016.02.23 |
서포[漵浦]~산서풍[山西風]~서풍오인[西風汚人] (0) | 2016.02.22 |
서치[徐穉]~서침등욕절[鼠侵藤欲絶]~서판[書判] (0) | 2016.02.22 |
서촉유통사마격[西蜀喩通司馬檄]~서총대[瑞蔥臺]~서축[西竺] (0) | 2016.02.22 |
서천[西川]~서천십양금[西川十樣錦]~서촉민유화[西蜀民猶化] (0) | 2016.02.22 |
서지영대[棲遲靈臺]~서진갑자[書晉甲子]~서창곡[徐昌縠] (0) | 2016.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