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서울[] 수도를 이르는 말이다. 서완은 경주(慶州)의 옛 이름인데 경주가 오랜 세월 도읍지로 되었기 때문이다. 그는 마치 중국에서 수도를 장안(長安)이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서원[西原] 서원은 서원경(西原京)으로 청주(淸州)의 옛 이름이다.

서원[西園] 서원은 한말(漢末)에 조조(曹操)가 업도(鄴都)에 만든 동산 이름으로, 귀공자들이 연회를 즐기는 곳으로 유명하다.

서원[西垣] 중서성(中書省)의 이칭(異稱)이다.

서유[徐庾] 서능(徐陵유신(庾信). 모두 진() 때 사람으로, 다같이 문사(文辭)에 뛰어나 당시에 서유체(徐庾體)라 불렸다.

서유[書帷] 서재(書齋)에 치는 장막을 말한다.

서유[徐孺] 후한(後漢)의 고사(高士) 서치(徐穉), 자는 유자(孺子). 태수 진번(陳蕃)이 원래 손님 접대를 않는데 서치만은 찾아오면 특별히 자리 하나를 깔고 대접하다가 그가 가면 곧 그 자리를 걷어 다시 매달아 두었다 한다. <後漢書 高士傳>

서유잠건개[書帷暫褰開] 책 읽고 연구하는 일도 잠시 접어 두었다는 말이다. () 나라 동중서(董仲舒)가 강학(講學)을 할 때 항상 휘장을 드리웠으므로 제자들도 그의 얼굴을 보지 못했으며, 이런 일을 무려 3년 동안이나 지속하면서 정원에 나와 거닐어 보지도 않았다는 일화가 전한다. <史記 儒林列傳 董仲舒傳>

서유탑[徐孺榻] 서유는 후한 때 서치(徐穉)를 가리키는데 그의 자가 유자(孺子)이므로 서유라 한 것이다. 그 당시 태수(太守)인 진번(陳蕃)이 일반 빈객(賓客)은 접견하지 않고 오직 서치가 올 때에만 걸상[]을 내놓았다가 그가 가면 걸상을 매달아 놓았다는 고사이다. <後漢書 卷五十三 周黃徐姜列傳>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