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생추[生芻] 시경(詩經) 소아(小雅) 백구(白駒)의 “새하얀 흰 망아지 깊은 골짜기에 있는데, 싱싱한 꼴 먹이는 저 주인 백옥과 같네[皎皎白駒 在彼空谷 生芻一束 其人如玉]”라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현인을 사모하는 것을 가리킨다.
❏ 생추[生芻] 조촐한 제물(祭物)을 말한다. 후한(後漢)의 서치(徐穉)가 곽임종(郭林宗)의 모친상 때 싱싱한 풀 한 다발[生芻一束]을 여묘(廬墓) 앞에 놔두고 갔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後漢書 徐穉傳>
❏ 생추공곡[生芻空谷] 생전의 현인(賢人)의 풍모를 말한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백구(白駒)의 “깨끗한 흰 망아지 저 빈 골짜기에 있나니, 싱싱한 꼴 한 다발 먹이는 그분 모습 마치 옥과 같도다[皎皎白駒 在彼空谷 生芻一束 其人如玉]”라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 생추일속[生蒭一束] 벤 지 얼마 안 된 싱싱한 꼴 한 묶음. 시경(詩經) 소아(小雅) 백구(白駒)에 “생추 일속을 바치노니, 그 사람 옥 같도다.”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원래는 현인(賢人)을 떠나지 못하게 하기 위해 그가 타고 온 망아지에게 꼴을 먹인다는 뜻에서, 미박한 예물의 뜻으로 쓰였었는데, 후한(後漢) 때 곽태(郭太)의 모친상에 서치(徐穉)가 생추 일속을 부의한 일이 있고부터 미박한 부의의 뜻으로 전용되었다. <後漢書 徐穉傳>
❏ 생추조옥음[生芻阻玉音] 오래도록 서로 소식이 막혔음을 비유한 말이다. 생추는 벤 지 얼마 안 되어 아직 마르지 않은 꼴을 말하고, 옥음(玉音)은 남의 음신(音信)을 높여 이른 말인데, 즉 하찮은 꼴을 가지고 떠나는 현자(賢者)의 망아지를 먹이면서 작별의 아쉬움을 노래한 것으로 시경(詩經) 소아(小雅) 백구(白駒)에 “생추가 일속이로소니 그 사람이 옥과 같구려. 그대의 음신을 금옥 같이 여겨 나를 멀리할 마음을 두지 마오[生芻一束 其人如玉 毋金玉爾音 而有遐心]”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루망[西京漏網]~서경이자[徐卿二子]~서계[書契] (0) | 2016.02.12 |
---|---|
서검응난적만인[書劍應難敵萬人]~서검현[徐劍懸]~서경[署經] (0) | 2016.02.12 |
서거[犀渠]~서거유위[西去遊渭]~서검[書劍] (0) | 2016.02.11 |
서가조[犀可照]~서가지폐[徐家之肺]~서간충비[鼠肝蟲臂] (0) | 2016.02.11 |
생취[生聚]~생허좌자열[生虛坐自閱]~생화필[生花筆] (0) | 2016.02.11 |
생우익[生羽翼]~생자필멸[生者必滅]~생직[生直] (0) | 2016.02.11 |
생송몽[生松夢]~생순사역안[生順死亦安]~생애[生涯] (0) | 2016.02.04 |
생민[生民]~생백실[生白室]~생사[生師] (0) | 2016.02.04 |
생년수가의[生年輸賈誼]~생로병사고[生老病死苦]~생멸법[生滅法] (0) | 2016.02.04 |
생계공사[省啓公事]~생관[甥館]~ 생구불망[生口不網] (0) | 2016.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