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삭운한국[朔雲寒菊] 참고로 두보(杜甫)의 시에 “음산한 북방 구름 차디찬 국화 보니 이별하는 시름이 더해지누나.[朔雲寒菊倍離憂]”라는 표현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23 長沙送二十一>
❏ 삭적벌수[削迹伐樹] 공자는 당시 사람들에게 미움을 받아 머물렀던 자취를 없애고 숨었다 한다. 그리하여 장자(莊子)에 “공자가 노(魯) 나라에서 두 번 쫓겨났고 위(衛) 나라에서 자취를 숨겼다.”고 하였다. 또한 송(宋) 나라에서는 큰 나무 아래에서 예(禮)를 강론하고 떠나갔는데 송 나라의 사마(司馬)인 상퇴(向魋)는 공자를 죽이려고 쫓아갔으나 이미 떠나가고 없자, 그 큰 나무를 베어버렸다고 한다. <莊子 漁父, 史記 孔子世家>
❏ 삭주굴근[削株掘根] 줄기를 깎고 뿌리를 파낸다는 뜻으로, 화근(禍根)을 없앤다는 의미이다.
❏ 삭참[朔參] 관리가 매월 초하룻날에 참조(參朝)하는 일을 말한다.
❏ 삭탈관직[削奪官職] 관직을 깎아서 빼앗는다는 뜻으로, 죄 지은 벼슬아치의 벼슬과 품계(品階)를 빼앗고 사판(仕版)에서 깎아 버림을 말한다. 삭탈관작(削奪官爵).
❏ 산간[山簡] 진(晋) 나라 산도(山濤)의 아들이다. 정남장군(征南將軍)으로 양양(襄陽)을 진수(鎭守)하면서 나가 놀기를 좋아하여, 흔히 경치 좋은 습가지(習家池)에 가서 술에 취해서는 백접리(白接䍦)를 거꾸로 쓰고 말을 거꾸로 타고 돌아오는 등 풍류 기화(奇話)를 많이 남겼다. <晉書 卷四十三>
❏ 산간벽지[山間僻地] 산골짜기 시골 오지라는 뜻으로, 아주 구석진 산골의 의미한다.
❏ 산간벽촌[山間僻村] 산골의 궁벽(窮僻)한 마을을 말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락[蒜酪]~산릉청초육조지[山陵靑草六朝地]~산명수청[山明水淸] (0) | 2015.12.16 |
---|---|
산구화옥[山丘華屋]~산귀[山鬼]~산동서지장상[山東西之將相] (0) | 2015.12.16 |
산공도습가정[山公到習家筳]~ 산공법[山公法]~산공지[山公池] (0) | 2015.12.16 |
산고수장[山高水長]~산곡운룡[山谷雲龍]~산공기마[山公騎馬] (0) | 2015.12.16 |
산경가보[山扃假步]~산계야목[山鷄夜鶩]~산계희[山鷄戱] (0) | 2015.12.14 |
사흉[四凶]~삭교[朔窖]~삭시[數詩] (0) | 2015.12.14 |
사효극왕융[死孝劇王戎]~사후청심환[死後淸心丸]~사휴[四休] (0) | 2015.12.14 |
사화우[四花雨]~사회[謝晦]~사회부연[死灰復燃] (0) | 2015.12.14 |
사호장[四皓藏]~사호전신[射虎前身]~사홍심[射鴻心] (0) | 2015.12.11 |
사혜련[謝惠連]~사호귀[四皓歸]~사호귀한[四皓歸漢] (0) | 2015.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