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사불급설[駟不及舌] 아무리 빠른 사마(駟馬: 4필의 말이 끄는 빠른 수레)라도 자기 혀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뜻으로, 한 번 내뱉은 말은 네 마리가 끄는 빠른 마차도 따라잡지 못하듯이 뜬소문이 쉽게 퍼짐을 비유하는 말조심을 하라는 의미이다.

사불급설[駟不及舌] 말을 조심하고 경계해야 한다는 뜻의 고사성어. 사마(駟馬)로도 혀에 미치지 못한다. 말이 입에서 나오면 네 마리의 말이 끄는 수레도 따라잡을 수 없다는 뜻으로 소문이 삽시간에 퍼지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논어(論語) 안연(顔淵)편에 나오는 말인데, 공자의 제자인 자공(子貢)에게 위()나라 대부(大夫)인 극자성(棘子成)군자는 바탕만 있으면 되었지 문()이 왜 필요합니까?”라고 물었다. 그러자 자공이 안타깝습니다. 그대의 말씀은 군자의 말씀입니다. 네 필의 말이 끄는 수레도 혀에 미치지 못합니다(夫子之說君子也, 駟不及舌). ()이 질()과 같고 질()이 문()과 같다면, 호랑이나 표범의 가죽이 개나 양의 가죽과 같다는 것입니까?”라고 대답했다. ()나라 구양수(歐陽修)의 필설(筆說)에도 한 마디의 말이라도 한번 입을 떠나면 네 필의 말이 끄는 수레로도 쫓기 어렵다(一言旣出, 駟馬難追)”라는 대목이 있다. 사불급설(駟不及舌)은 사마난추(駟馬難追)라고도 하는데, 이는 말을 신중하게 해야 함을 비유한 표현이다.

사불범정[邪不犯正] 사도(邪道)는 정도(正道)를 범하지 못한다. 바르지 못한 것은 바른 것을 범하지 못함을 말한다.

사불여의[事不如意] 일이 뜻과 같지 않다는 뜻으로, 일이 뜻한 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을 이르는 말이다.

사불주[沙弗州] 상주(尙州)의 고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