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사문난적[斯文亂賊] ‘이 학문(유교)을 어지럽히는 적이란 말로 즉, 유교의 교리나 사상에 어긋나는 언행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일종의 이단자를 가리킨다. 중세 유학이념이 지배하던 사회 속에서 다른 이념을 불인정한 상태를 반영한 용어이다.

사문미상[斯文未喪] 공자가 광() 땅 사람들에게 포위되어 곤욕을 당하면서 하늘이 장차 사문(斯文)을 상실하게 하려 하지 않는다면 광인(匡人)이 나를 어찌하랴.”라고 하였다. 사문은 곧 이 도()라는 뜻이다.

사문부산[使蚊負山] 모기()로 하여금 산을 지게 한다는 뜻으로, 능력이 부족해서 중책(重責)을 감당할 수 없는 것을 일컫는다. 문예부산(蚊蚋負山). <莊子>

사문유취[事文類聚] ((((((()집 총 236권으로서 전 후··별집은 송 나라 축목(祝穆)의 찬이고, ·외집은 원() 나라 부대용(富大用), 유집은 축연(祝淵)의 찬이다. 축목이 편찬한 것은 부류(部類)를 나누어 군서(群書)의 요어(要語시구(詩句고금(古今)의 사실·고금 문집의 순으로 배열했다. 그는 사문유취(事文類聚) ()에서 因考歐陽詢徐堅所著類書 採摭事實及詩文 合而成編이라 하여, 당 나라 구양순의 예문유취(藝文類聚)와 서견의 초학기(初學記)의 체재를 따랐음을 밝히고 있다. 부대용과 축연의 것은 축목의 체재를 그대로 따르고 그것에 증보한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