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사면팔방[四面八方] 사면과 팔방. 모든 곳.

사명[辭命] 사명은 춘추 시대 제후들간에 왕래하던 외교 문서이다.

사명[司命] 세상 만물의 운명을 맡은 신()을 말한다.

사명광객[四明狂客] 당 나라 시인 하계진(賀季眞)의 자호이다. 늙어서 고향인 오중(吳中)으로 돌아올 때에 현종황제(玄宗皇帝)가 경호(鏡湖) 한 구비[一曲]를 하사(下賜)하였다.

사명하감[四明賀監] () 나라 하지장(賀知章)의 벼슬이 비서감(秘書監)이었다. 그가 만년에 사명산(四明山)에 은퇴하여 사명광객(四明狂客)이라 자호했으며, 일찍 이백(李白)의 시를 보고 자네는 천상에서 인간으로 귀양온 신선[謫仙]이라고 격찬했었다.

사모[四牡] 네 마리의 수말로, 왕명을 봉행하는 사신이 타고 가는 말을 뜻한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사모(四牡)사모 달리고 달리니, 큰 길이 멀고 멀다.[四牡騑騑 周道倭遲]”라고 하였는데, 이는 멀리 가는 사신을 천자(天子)가 위로한 시이다.

사모판포[紗帽版袍] 사모·판포는 조선 시대 사대부의 관복. 사모·판포란 말은 청 나라 이불(李紱)의 목당시집(穆堂詩集)紗帽版袍春人貢이라는 글귀가 보인다.

사목지신[徙木之信] 나무를 옮긴 것에 대한 신의라는 뜻으로, 위정자가 백성을 속이지 않는 백성에 대한 신의를 밝힌다는 의미이다. 진의 상앙이 법령을 제정할 때 남문에 큰 나무를 세워놓고 북문으로 옮기는 사람에게 상금을 준다는 소문을 내고는 짐짓 옮기는 사람에게 상금을 주자 사람들이 법령을 신뢰하게 되었다는 고사가 있다. <史記 商君列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