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사마문성봉선기[司馬文成封禪起] 한 무제 때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죽기 전에 책 한 권을 남기면서 황제의 사자(使者)가 와서 찾거든 주라고 하였는데, 그 책이 바로 봉선서(封禪書)였다고 한다. <史記 司馬相如列傳> 장경(長卿)은 그의 자(字)이다.
❏ 사마문왕[司馬文王] 사마소(司馬昭).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의 권신(權臣). 자(字)는 자상(子上), 위(魏)의 대장군(大將軍)·대도독(大都督). 260년에 위나라의 황제 모(髦)를 멸망시키고 원제(元帝)를 앙립(仰立)하였으며 촉한(蜀漢)을 멸망시켜 진왕(晉王)에 봉립되었다. 위실(魏室) 탈위의 야심이 있었으나, 265년에 사망. 그의 아들 염(炎)이 원제의 선양(禪讓)을 받아 진국(晉國)을 세웠다.
❏ 사마반진[司馬班陳] 사마천(司馬遷)ͺ 반고(班固)ͺ 진수(陳壽). 또는 그들인 지은 정사(正史) 사기(史記)ͺ 한서(漢書)ͺ 삼국지(三國志)를 가리킨다.
❏ 사마법[司馬法] 전국시대 때 제나라 위왕(威王: 재위 기원전 359- 319년)이 그 신하들에게 명하여 과거 장군들이 써 놓았던 병서를 정리하게 했는데 그 중 제나라 경공(景公 : 재위 기원전 547- 490년) 때의 명장 사마양저(司馬穰苴)의 병법이 포함되어 있어 사마양저병법이라고 칭하고 줄여서 사마법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 사마사[司馬師] 사마의(司馬懿)의 장자. 자(字)는 자원(子元). 경제(景帝)라는 시호를 받았다. 젊었을 때는 하후현(夏侯玄), 하안(何晏) 등의 청담가(淸淡家)와 이름을 같이하고 특히 하안으로부터 높이 평가되고 있었다. 그러나 아버지의 반역에 즈음하여 그는 은밀히 계략을 꾸며, 251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위(魏)의 정치실권을 장악하였다. 국내에서는 반사마씨운동(反司馬氏運動)을 억누르고, 밖으로는 오(吳)의 제갈격(諸葛挌)과 싸워 승리하였다. 안질(眼疾)을 앓아 급사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무두불행[蛇無頭不行]~사무외[四無畏]~사문[斯文] (0) | 2015.11.27 |
---|---|
사명광객[四明狂客]~사모판포[紗帽版袍]~사목지신[徙木之信] (0) | 2015.11.26 |
사만보대[獅蠻寶帶]~사매지갈[思梅止渴]~사면춘풍[四面春風] (0) | 2015.11.26 |
사마주[司馬柱]~사마참석[司馬鑱石]~사마천[司馬遷] (0) | 2015.11.26 |
사마상객유[司馬嘗客遊]~사마안거[駟馬安車]~사마자미[司馬子微] (0) | 2015.11.26 |
사마가사벽[司馬家四壁]~사마난추[駟馬難追]~사마독[司馬督] (0) | 2015.11.25 |
사림[詞林]~사마[司馬]~사마[駟馬] (0) | 2015.11.25 |
사륙[四六]~사륜[絲綸]~사리자[舍利子] (0) | 2015.11.25 |
사롱호구시[紗籠護舊詩]~사룡[士龍]~사루[謝樓] (0) | 2015.11.25 |
사롱수불[紗籠袖拂]~사롱유구재[紗籠有舊裁]~사롱정호[紗籠正護] (0) | 2015.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