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마니[摩尼] 마니는 불교 용어로, 보주(寶珠)의 음역이며 무구(無垢) 또는 여의주(如意珠)를 뜻한다. 말니(末尼)라고도 한다. 당 나라 두보(杜甫)의 증촉승려구사형시(贈蜀僧閭丘師兄詩)에 “오직 마니주가 있어서 탁수의 근원을 비출 수가 있다.[惟有摩尼珠 可照濁水源]”라고 하였다.
❏ 마니주[摩尼珠] 마니는 불교 용어로 보주(寶珠)의 음역이며, 말니(末尼)라고도 한다. 당 나라 두보(杜甫)의 ‘증촉승려구사형시(贈蜀僧閭丘師兄詩)’에 “오직 마니주가 있어서 탁수의 근원을 비출 수가 있다.[惟有摩尼珠 可照濁水源]”하였다. 용왕의 뇌 속에서 나온 구슬로서 사람이 이 구슬을 가지면 독(毒)이 해칠 수 없고,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는 공덕이 있다고 한다. 여의주(如意珠).
❏ 마도[馬圖] 용마가 등에 지고 나온 그림이다. 예기(禮記) 예운(禮運)에 “하늘이 고로(膏露)를 내리고 땅에서 예천(醴泉)이 솟고 산에서 기거(器車)가 나오고 하수에서 하도(河圖)가 나왔다.”고 하였는데, 그 소에 “복희씨(伏羲氏)가 천하를 가지자 용마가 도를 지고 하수에서 나왔으므로 이를 법받아 팔괘(八卦)를 그렸다.”고 하였다.
❏ 마도[馬渡] 진 원제(晉元帝)가 제왕(諸王)과 더불어 강을 건너게 되었다. 그때 동요(童謠)에 “다섯 말이 강을 건너서 한 말이 용으로 되네.”라 하였는데, 황실(皇室) 사마씨(司馬氏)의 앞에 있더니 진 원제의 오왕(五王)이 강을 건너 남으로 가서 그 중에 낭야왕(瑯琊王)이 임금이 되었다.
❏ 마도견[磨兜堅] 곡성(穀城) 성문 밖에 돌사람이 서 있는데, 그의 배에 새겨지기를 “마도견이여 절대 말하지 말라.[磨兜堅愼勿言]”고 하였다고 한다. <甕牖閒評>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사동적[摩挱銅狄]~마상득구위[馬上得九圍]~마상재[馬上才] (0) | 2015.05.30 |
---|---|
마복파[馬伏波]~마봉[麻蓬]~마부작침[磨斧作針] (0) | 2015.05.30 |
마릉[馬陵]~마릉서[馬陵書]~마발[馬勃] (0) | 2015.05.30 |
마려[磨驢]~마렵인산[馬鬣因山]~마루[劘壘] (0) | 2015.05.30 |
마두[馬竇]~마등가[摩登伽]~마란[馬卵] (0) | 2015.05.30 |
마권자[馬圈子]~마남도[馬南渡]~마녈[磨涅] (0) | 2015.05.29 |
마골구방인[馬骨九方歅]~마공신[馬功臣]~마군수공[馬群遂空] (0) | 2015.05.29 |
마고[麻姑]~마고관해[麻姑觀海]~마고소양[麻姑搔痒] (0) | 2015.05.29 |
마경가[馬卿家]~마경유공[馬卿遊邛]~마계산[摩笄山] (0) | 2015.05.29 |
마각[馬脚]~마간독발[馬肝毒發]~마간석[馬肝石] (0) | 2015.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