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능운[凌雲] () 나라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자허부(子虛賦)를 지었는데, 무제(武帝)는 읽고서 말하기를 휘날리고 휘날려서 능운(凌雲)의 기개가 있다[飄飄然有凌雲之氣]”라 하였다.

능운부[凌雲賦] () 나라 때 사마상여(司馬相如)가 대인부(大人賦)를 지어 올리자, 천자(天子)가 그것을 보고 대단히 기뻐하여 마치 표표히 구름 위로 치솟아 오를 듯한[凌雲]기세가 있었다는 데서 온 말이다. <漢書 卷五十七>

능운수[凌雲手] 보통 능운필(凌雲筆)로 많이 쓰는데, 시문(詩文)에 뛰어난 재질을 갖춘 것을 말한다.

능운지[凌雲志] 능운의 뜻은 진세(塵世)를 떠나 선계(仙界)로 가려는 마음을 말한다.

능운지지[凌雲之志] 높이 세상 밖에 초탈하려거나 속세를 떠나려는 마음. 또는 높은 지위에 올라가고자 하는 뜻을 이른다. 陵雲之志, 靑雲之志.

능음[凌陰] 얼음을 저장해둔 곳이다.

능조도사하호일[菱租道士賀湖一] () 나라 때 하지장(賀知章)이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가자, 임금은 그 곳의 호수인 감호(鑑湖) 일대를 하사하였다.

능지[凌遲] 극형(極刑)을 말한 것인데, 먼저 그 지체(支體)를 끊고 다음에 목을 끊는다. 대역(大逆)을 범한 자에게 적용되었다.

능지처참[陵遲處斬] 머리, , 발 그리고 몸을 토막내던 극형(極刑)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