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기대두[祈大斗] 수연(壽宴)을 열었다는 말이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행위(行葦)에 “주인인 증손자, 진한 단술 내어 놓고, 큰 국자로 술을 떠서, 오래 사시라 기원하네[曾孫維主 酒醴維醹 酌以大斗 以祈黃耈]”라 하였다.
-
기덕[耆德] 나이가 많고 덕망이 있는 사람을 이른다.
-
기도서[碁賭墅] 진(晉) 나라 때 부견(苻堅)이 백만 대군을 거느리고 쳐들어와 회비(淮肥)에 주둔하고 있을 적에 정토대도독(征討大都督) 사안(謝安)이 태연하게 별장으로 나가서 친붕들이 다 모인 가운데 조카인 사현(謝玄)과 별장 내기 바둑을 두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七十九>
-
기도창명기도상[幾度滄溟幾度桑] 많은 세월이 흘렀다는 뜻이다. 한(漢) 나라 때의 신선(神仙) 왕원(王遠)이 마고(麻姑)를 초청하니, 마고가 봉래산(蓬萊山)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찾아보겠다고 하였다. 그 뒤에 마고가 와서는 스스로 말하기를 “그대를 만난 이래로 이미 동해가 세 번 뽕밭으로 변하는 것을 보았다. 지난번에 봉래산에 가 보니 지난번에 만났을 적보다 물이 반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니 어찌 다시 육지가 되지 않겠는가.”라 하였다. <神仙傳 麻姑>
-
기독신[箕獨神] 키에 까불리듯이 시비 훼예(是非毁譽)가 남의 입에 많이 오르내림을 뜻한다. 한유(韓愈)의 삼성행(三星行)에 “견우는 짐수레를 끌지 못하고 북두는 주장을 뜨지 못하는데 기성은 유독 신령함이 있어 까부름을 멈출 때가 없기에 잘한 것 없으나 이름은 널리 알려졌고 악한 일 없으나 비난의 소리 이미 시끄럽네[牛不見服箱 斗不挹酒漿 箕獨有神靈 無時停簸揚 無善名已聞 無惡聲已讙]”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韓昌黎集 卷四>
-
기동향[寄桐鄕] 한 나라의 엄자릉(嚴子陵)이란 사람은 황제의 옛 친구로서 높은 벼슬을 싫다 하고 동계(桐溪)에서 낚시질로 여생을 보냈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린각[麒麟閣]~기린명류방[麒麟名流芳]~기린쇠야노마선지[騏麟衰也駑馬先之] (0) | 2015.02.09 |
---|---|
기리[機利]~기리단금[其利斷金]~기린[麒麟] (0) | 2015.02.09 |
기련총[祈連塚]~기로망양[歧路亡羊]~기룡[夔龍] (0) | 2015.02.09 |
기랍완부극[幾蠟阮孚屐]~기려객[騎驢客]~기련[祈連] (0) | 2015.02.09 |
기두[箕斗]~기라성[綺羅星]~기란패애[棄蘭佩艾] (0) | 2015.02.09 |
기기복조[騏驥伏槽]~기기서[騎箕逝]~기당[紀堂] (0) | 2015.02.08 |
기근헌귀[嗜芹獻貴]~기기[期期]~기기미[騎箕尾] (0) | 2015.02.08 |
기국천붕[杞國天崩]~기권[機權]~기궐[冀闕] (0) | 2015.02.08 |
기구묘희[棄溝廟犧]~기국빈[杞菊貧]~기국천[杞國天] (0) | 2015.02.08 |
기공[綺公]~기괴근위선[起愧勤爲善~기구[起句] (0) | 201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