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기공[綺公] 기공은 한 나라 초기 상산사호(商山四皓)의 한 사람인 기리계(綺里季)를 가리킨다. 한 고조(漢高祖)가 태자를 폐하려 할 때 여후(呂后)가 장량(張良)의 말을 듣고 상산사호를 불러와 태자를 보좌하게 하였는데, 고조가 그들이 태자를 모시고 있는 것을 보고 “우익이 이미 형성되었다.”라 하고 마음을 바꿨다 한다.

  • 기공[己公] 당(唐)의 승려(僧侶) 제기(齊己)를 가리킨다.

  • 기공[其公] 수기(守其) 승통을 가리킨다.

  • 기관[機關] 세상에 대해서 이렇게 해볼까 저렇게 해볼까 하는 마음을 기관이라 한다.

  • 기괴근위선[起愧勤爲善] 맹자(孟子) 진심 상(盡心上)에 “닭이 울면 일어나 부지런히 일을 하는 사람은 순(舜)의 무리이다.”라고 하였다.

  • 기교[飢蛟] 소식(蘇軾)의 시에 “물속에 잠긴 물건 중에 교룡(蛟龍)이 하나 있어, 목마른 호랑이를 꼬리 흔들며 잡아먹네[潛鱗有飢蛟 掉尾取渴虎]”라는 구절이 있다. <蘇東坡詩集 卷38 白水山佛跡巖>

  • 기구[崎嶇] 가파른 모양이다.

  • 기구[氣毬] 공기를 불어넣어 공중(空中)으로 높이 올라가게 하는 둥근 주머니. 곧 공을 말한다.

  • 기구[箕裘] 아비의 업적을 잘 계승한다는 뜻이다. 예기(禮記) 학기(學記)에 “활을 잘 만드는 집 자식은 반드시 키 만드는 법을 배우고, 풀무를 잘 하는 집 자식은 반드시 갖옷 짓는 법을 배운다[良弓之子 必學爲箕 良冶之子 必學爲裘]”라는 말이 있는데, 그것은 철공의 아들은 아버지가 쇠를 녹여서 뚫어진 그릇을 땜질하는 것을 보았기 때문에 자기는 짐승의 가죽을 조각조각 붙여서 갖옷을 만들 줄을 알고, 활 만드는 사람의 아들은 그 아버지가 나무를 부드럽게 휘어서 활을 만드는 것을 보았기 때문에, 자기도 나무를 부드럽게 다루어서 키를 만든다는 뜻이다.

  • 기구[起句] 첫 글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