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귀거래[歸去來]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으로 돌아감. 진(晉)의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서 유래되었다.
-
귀거래사[歸去來辭] 진(晉) 나라 도연명(陶淵明)이 팽택령(彭澤令)으로 있을 때, 순시하러 온 상관인 독우(督郵)에게 머리 숙이기 싫어 즉일로 벼슬을 버리고 전원으로 돌아가면서 지은 것이다.
-
귀곡[鬼谷] 귀곡은 하남(河南) 등봉현(登封縣)에 있는 골짜기로서 육국 시대(六國時代) 종횡가(縱橫家) 소진(蘇秦)·장의(張儀)의 스승 귀곡선생이 살던 곳이다.
-
귀곡[鬼谷] 전국(戰國) 때, 신선(神仙)이 되었다는 왕후(王詡)의 별호이다. 청계(淸溪)의 귀곡(鬼谷)에 살았으므로 귀곡 선생(鬼谷先生)이라 하는데 “청계의 깊이가 천 길이 되는데, 그 가운데 도사가 살고 있다네[淸溪千餘仞 中有一道士]”라고 한 곽박의 시가 있다. <史記 卷六十九>
-
귀곡선생[鬼谷先生] 전국 때 제나라의 출신의 종횡가로 이름은 전하지 않는다. 일설에는 초나라 출신이라고도 한다. 지금의 하남성 방성(方城) 부근의 영천(穎川) 양성(陽城)의 귀곡(鬼谷)이라는 곳에 은거하여 살았기 때문에 귀곡이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했다. 귀곡(鬼谷)은 일설에는 지금의 섬서성 경양(涇陽)의 부풍(扶風)의 지양(池陽) 부근이라고도 한다. 그의 사상은 황노(黃老)의 심술(心術)에서 출발했다. 세상의 일을 논하여 일을 도모함에 있어서 우선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이는 반응(反應) 단계를 거쳐, 자기의 마음으로써 미루어 상대방의 마음을 읽는 췌마(揣摩)에 이르러, 마침내 상대방의 마음의 문을 열게 하는 비합(俾闔)의 술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함으로 해서 전국시대 유세가들의 조종(祖宗)이 되었다. 장의(張儀)와 소진(蘇秦)은 그의 제자이며 귀곡자(鬼谷子) 3편이 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에 실려 있으나 일설에는 소진이 저술하고 신비감을 보태기 위해 그의 이름을 빌린 것이라고도 한다.
-
귀곡자[鬼谷子] 전국시대의 종횡가(縱橫家). 성명‧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제반 지식에 통달했다고 한다. 그가 숨어살던 귀곡이란 지명을 따서 호를 삼고 종횡설의 법(法)을 적은 귀곡자(鬼谷子) 3권을 지었다고 하나 확실하지 않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신[鬼神]~귀신출후[鬼神出後]~귀심[歸心] (0) | 2015.01.19 |
---|---|
귀배괄모[龜背刮毛]~귀석[歸舃]~귀수[鬼叟] (0) | 2015.01.19 |
귀마방우[歸馬放牛]~귀문[龜文]~귀문금신[鬼門金神] (0) | 2015.01.19 |
귀녕[歸寧]~귀래탄무어[歸來嘆無魚]~귀래학[歸來鶴] (0) | 2015.01.19 |
귀곡천계[貴鵠賤鷄]~귀굴[鬼窟]~귀기[鬼欺] (0) | 2015.01.18 |
귀각지첨선[晷刻知添線]~귀감고명실[鬼瞰高明室]~귀개공자[貴介公子] (0) | 2015.01.18 |
궤여문동[軌與文同]~궤장[几杖]~궤함[匭函] (0) | 2015.01.18 |
궐희[闕戱]~궤거[几蘧]~궤안리소밀[麂眼籬疎密] (0) | 2015.01.18 |
궐리언[闕里言]~궐미산[蕨薇山]~궐의궐태[闕疑闕殆] (0) | 2015.01.17 |
궐[蟨]~궐내무역[闕內貿易]~궐리마장[闕里摩墻] (0) | 201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