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고복[鼓腹] 배불리 먹고 기뻐하여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태평(太平)을 즐기는 것을 형용한 말이다. () 임금 때에 천하가 태평하자, 한 노인이 배를 두드리며 노래하기를 우물 파서 물 마시고 농사지어 밥 먹으니 임금의 힘이 나에게 무슨 상관이 있으랴고 하였다는데서 온 말이다.

  • 고복[顧腹] 부모가 자식을 항상 보살펴 기르는 것을 이른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육아(蓼莪)아버지는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는 나를 기르시되 …… 나를 돌보시고 나를 반복하여 돌보시며 들며 나며 나를 안아 주셨네[父兮生我 母兮鞠我 …… 顧我復我 出入腹我]”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고복격양[鼓腹擊壤] 배를 두드리고 발로 땅을 구르며 노래한다. 곧 의식(衣食)이 풍부하여 안락하며 태평 세월을 즐기는 일을 말한다. 태평세월(太平歲月)을 의미한다. 중국의 요()임금 때, 한 노인이 배를 두드리고 땅을 치면서 요임금의 덕을 찬양하고 태평을 즐긴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다. 태평성대(太平聖代)

  • 고봉준령[高峯峻嶺] 높이 솟은 산봉우리와 험준한 산마루를 이른다.

  • 고봉표맥[高鳳漂麥] 고봉의 자()는 문통(文通), () 나라 때 사람이다. 한 번은 아내가 밭에 가면서 보리를 마당에 널어놓고, 그에게 닭을 보라고 부탁하였는데, 마침 비가 와서 보리 멍석이 떠내려갔으나 그는 그런 줄도 모르고 장대만 들고 글을 읽었다고 한다. <後漢書 卷一百十三>

  • 고봉피세[高鳳避世] 고봉은 후한(後漢) 때의 명유로서 항시 공부에만 열중하였으므로, 일찍이 자기 마당에 널어놓은 보리가 큰비에 떠내려가는 것도 모르고 공부만 했었다. 그 뒤에 조정에서 불렀으나 나가지 않았다. <後漢書 卷七十三 逸民列傳 高鳳>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