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고반[考槃] 세상에 나가지 않고 은거(隱居)한 현인을 말한다. 고반은 시경(詩經) 위풍(衛風) 고반서(考槃序)고반은 장공(莊公)이 선공(先公)의 업을 계승하지 못하여 현인으로 하여금 물러나 궁하게 살게 한 것을 풍자한 시이다.”라고 하였는데, 후세에서 은거하며 궁하게 산 것의 대칭으로 사용하였다.

  • 고반[考槃] 현자가 세상을 피하여 은둔해 살면서 즐거움을 이루는 곳을 이른다. 시경(詩經) 위풍(衛風) 고반(考槃)고반이 시냇가에 있으니, 석인의 마음이 넉넉하도다[考槃在澗 碩人之寬]”라고 하였는데, 주에 ()는 이루는 것이요, ()은 즐거움이다.”라 하였다.

  • 고반재간[考槃在澗] 어진 사람이 은거한 것을 말한다. 시경(詩經) 위풍 고반(考槃)시냇물 골짜기에 안식처를 마련하고, 숨어사는 어진 선비 혼자서 즐겁네. 저 혼자 자고 깨고 혼자 말하여도, 즐거운 이 재미를 못 잊겠다 다짐하네[考槃在澗 碩人之寬 獨寐寤言 永言弗諼]”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고방[孤芳] 고방은 뛰어나게 고결(高潔)한 인품을 비유한 말인데, 안연지(顔延之)의 제굴원문(祭屈原文)에는 물은 견방을 꺼리고 사람은 명결함을 꺼린다[物忌堅芳 人諱明潔]”라 하였고, 이백(李白)의 시에는 뭇 모래는 밝은 구슬을 더럽히고 뭇 풀들은 고고한 향초를 능멸하도다[群沙穢明珠 衆草凌孤芳]”라 하였다.

  • 고백[古柏] 사헌부를 이른다. 옛날 어사대(御史臺)에 백수(柏樹)를 심었으므로 이른 말이다.

  • 고병[高棅] () 나라 학자이다. 호는 소대(嘯臺) 또는 만사(漫士). 박학(博學)하고 문장에 능했으면 특히 시에 뛰어났다. 저서에, 소대집(嘯臺集당시품휘(唐詩品彙) 등이 있다. 뒤에 이름을 정례(廷禮)로 고쳤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