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고반[考槃] 세상에 나가지 않고 은거(隱居)한 현인을 말한다. 고반은 시경(詩經) 위풍(衛風) 고반서(考槃序)에 “고반은 장공(莊公)이 선공(先公)의 업을 계승하지 못하여 현인으로 하여금 물러나 궁하게 살게 한 것을 풍자한 시이다.”라고 하였는데, 후세에서 은거하며 궁하게 산 것의 대칭으로 사용하였다.
-
고반[考槃] 현자가 세상을 피하여 은둔해 살면서 즐거움을 이루는 곳을 이른다. 시경(詩經) 위풍(衛風) 고반(考槃)에 “고반이 시냇가에 있으니, 석인의 마음이 넉넉하도다[考槃在澗 碩人之寬]”라고 하였는데, 주에 “고(考)는 이루는 것이요, 반(槃)은 즐거움이다.”라 하였다.
-
고반재간[考槃在澗] 어진 사람이 은거한 것을 말한다. 시경(詩經) 위풍 고반(考槃)에 “시냇물 골짜기에 안식처를 마련하고, 숨어사는 어진 선비 혼자서 즐겁네. 저 혼자 자고 깨고 혼자 말하여도, 즐거운 이 재미를 못 잊겠다 다짐하네[考槃在澗 碩人之寬 獨寐寤言 永言弗諼]”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고방[孤芳] 고방은 뛰어나게 고결(高潔)한 인품을 비유한 말인데, 안연지(顔延之)의 제굴원문(祭屈原文)에는 “물은 견방을 꺼리고 사람은 명결함을 꺼린다[物忌堅芳 人諱明潔]”라 하였고, 이백(李白)의 시에는 “뭇 모래는 밝은 구슬을 더럽히고 뭇 풀들은 고고한 향초를 능멸하도다[群沙穢明珠 衆草凌孤芳]”라 하였다.
-
고백[古柏] 사헌부를 이른다. 옛날 어사대(御史臺)에 백수(柏樹)를 심었으므로 이른 말이다.
-
고병[高棅] 명(明) 나라 학자이다. 호는 소대(嘯臺) 또는 만사(漫士). 박학(博學)하고 문장에 능했으면 특히 시에 뛰어났다. 저서에, 소대집(嘯臺集)·당시품휘(唐詩品彙) 등이 있다. 뒤에 이름을 정례(廷禮)로 고쳤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산사[孤山士]~고산유수고금음[高山流水古琴音]~고산유수곡[高山流水曲] (0) | 2014.12.09 |
---|---|
고사[瞽史]~고사빙부[姑射氷膚]~고산[孤山] (0) | 2014.12.09 |
고분비[叩盆悲]~고불일[顧不一]~고빙[叩氷] (0) | 2014.12.09 |
고부[鼓缶]~고분[孤憤]~고분문한비[孤憤問韓非] (0) | 2014.12.09 |
고복[鼓腹]~고복격양[鼓腹擊壤]~고봉피세[高鳳避世] (0) | 2014.12.09 |
고문성사[高門盛事]~고민령[告緡令]~고밀[高密] (0) | 2014.12.08 |
고모복[皐某復]~고목한아[古木寒鴉]~고문상서[古文尙書] (0) | 2014.12.08 |
고마이간[叩馬而諫]~고만수[苽蔓水]~고명지실귀지감[高明之室鬼之瞰] (0) | 2014.12.08 |
고리[苦李]~고리곤[鼓吏褌]~고립무의[孤立無依] (0) | 2014.12.08 |
고로[菰蘆]~고륜신마[尻輪神馬]~고릉[觚稜] (0) | 2014.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