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객사[客師] 당(唐) 나라 때의 방술가(方術家)인 원객사(袁客師)를 말하는데, 그는 특히 예언(豫言)을 잘했다고 한다. <唐書 卷二百四>
-
객사[客舍] 맹상군은 문객들이 거처하는 객사(客舍)를 세 등급으로 나누었다. 상등의 객사는 대사(代舍), 중등의 객사는 행사(幸舍), 그리고 하등 객사를 전사(傳舍)라고 불렀다. 상등객사를 대사(代舍)라고 한 것은 ‘가히 맹상군을 대신할 수 있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객사’라는 뜻에서였으며 상객들을 거주하게 하여 고기를 먹게 하고 수레를 내주어 타고 다니게 했다. 행사(幸舍)란 ‘가히 믿고 일을 맡길만한 사람들이 살고있는 객사’라는 뜻으로 중객(中客)들을 머물게 하고 음식으로 고기를 먹게 했으나 수레는 내주지 않았다. 전사(傳舍)란 껍질을 벗겨 지은 밥이나마 내주어 기아(飢餓)나 면하게 해주며, 출입 시에는 자기들 스스로 해결해야하며, 하객(下客)들을 머물게 했다. 옛날 진나라에 갔을 때 계명구도(鷄鳴狗盜)한 사람과 역권(驛券)을 위조하여 자기를 위기에서 구해준 사람들은 모두 대사(代舍)에 거주하는 상객들의 반열에 세웠다.
-
객성[客星] 동한(東漢)의 은자(隱者)인 엄광(嚴光)을 지칭하는 말로, 은자를 뜻한다. 엄광이 한 나라 광무제(光武帝)와 동학(同學)한 사이였는데, 광무제가 황제가 된 뒤에 엄광을 불러 함께 잠을 자던 중에 엄광이 광무제의 배에 다리를 올려놓았다. 그 다음 날 태사(太史)가 아뢰기를 “객성이 어좌(御座)를 범하였습니다.”라 하니, 광무제가 웃으면서 “짐이 옛 친구인 엄자릉(嚴子陵)과 함께 잤을 뿐이다.”라 하였다. <後漢書 卷83 逸民列傳 嚴光>
-
객성[客星] 별[變星]의 일종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거[去去]~거거[椐椐]~거경지신[巨卿之信] (0) | 2014.11.12 |
---|---|
갱재[賡載]~갱절흔고경[硜節欣敲磬]~거개로훈[車蓋鑪薰] (0) | 2014.11.12 |
갱연사슬인[鏗然舍瑟人]~갱위조도[更位調度]~갱장사[羹墻思] (0) | 2014.11.12 |
객창한등[客窓寒燈]~객탑현[客榻懸]~갱가[賡歌] (0) | 2014.11.12 |
객성동강은[客星桐江隱]~객수주편[客隨主便]~객종[客從] (0) | 2014.11.12 |
객마천원규[客馬踐園葵]~객몽호거경[客夢呼巨卿]~객반위주[客反爲主] (0) | 2014.11.11 |
개통[介通]~개후[蓋侯]~객래문자혹휴존[客來問字或携尊] (0) | 2014.11.11 |
개중유인발형초[箇中游刃發硎初]~개착[改鑿]~개출양[開秫釀] (0) | 2014.11.11 |
개이부달[開而不達]~개자추[介子推]~개중[箇中] (0) | 2014.11.11 |
개원[開元]~개유기[皆由己]~개유불망[蓋帷不忘] (0) | 201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