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보정귀전지[寶鼎貴顚趾] 솥이 엎어지면 솥발도 뒤짚히는데 그리 되면 솥 안에 있던 오물들이 다 쏟아져나와 새로운 물건을 앉힐 수 있기 때문에 한 말이다. <周易 鼎卦>

보좌[寶座] 금강좌(金剛座사자좌(獅子座) 등 불(보살(菩薩) 등의 상을 모시는 상좌(床座)를 말한다.

보좌[黼座] 도끼 무늬 병풍 앞에 설치된 임금의 좌석을 말한다.

보주[甫州] 예천(醴泉)의 고호이다.

보지선사[寶誌禪師] () 나라 때의 고승이다.

보천[補天] 보천은 회남자(淮南子) 남명훈(覽冥訓)옛날에 사극(四極)이 폐해지고 구주(九州)가 갈라져서 하늘이 덮어주지 못하고 땅이 실어주지 못하였다. 이때에 여와(女媧)가 오색(五色)의 돌을 정련해서 보천(補天)하고, 자라의 발을 잘라서 사극을 세웠다.”라 하였다. 전하여 임금을 보좌하여 국가에 큰 공로가 있음을 비유한다.

보천입극[補天立極] 상고 시절의 여제(女帝)였던 여와(女媧) 때 그의 제후(諸侯)인 공공씨(共工氏)가 축융(祝融)과 싸워 싸움에 패하자, 화가 나서 머리로 부주산(不周山)을 받아 산이 무너지는 바람에 하늘 기둥이 부러지고 지구를 매놓은 끈이 끊겼는데, 이때 여와씨가 오색돌을 녹여 기둥을 만들어서 하늘을 고이고, 큰 자라 등에 얹혀 흔들거리는 지축을 고정시키기 위해 자라의 네 발을 잘라 움직이지 못하게 함으로써, 동서남북의 위치를 고정시켰다고 한다. <司馬貞 補史記 三皇本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