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투서개지기기심[投鼠皆知忌器心]  쥐를 잡자 해도 독을 깰까 하여 쥐를 못 때린다는 속담에서 나온 것이다.

투서기기[投鼠忌器 밉긴 하지만 큰 일을 그르칠까 염려되어 그렇게 하지 못한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투서상수[投書湘水 한(漢)나라의 가의(賈誼)가 상수(湘水)를 지나면서 굴원(屈原)을 조상하는 부(賦)를 지어 물에 던졌다.

투아[偸兒 한무고사(漢武故事)에 “동도(東都)에서 온 단인(短人)이 동방삭(東方朔)을 가리켜 말하기를 ‘서왕모(西王母)가 심어 놓은 복숭아는 3천 년만에 한 번씩 열매가 여는데, 이 아이 불량하여 벌써 세 차례나 훔쳐먹었다.’고 했다.”라고 하였다.

투암[投暗 재능을 알아주기는커녕 오히려 질시와 비난을 받는 것을 말한다. 명주암투(明珠暗投).

투암암견기[投暗暗見忌 재질을 완전히 발휘하지 못하게 하는 한심한 세태를 풍자한 말이다. 한(漢) 나라 추양(鄒陽)이 모함을 받고 투옥된 뒤 옥중에서 상소한 글 가운데“깜깜한 길을 비춰 주려고 명월주와 야광벽을 던져 주면, 모두가 칼을 뽑으려 하면서 노려본다.[明月之珠 夜光之璧 以闇投人於道路 人無不按劍相眄者]”라는 대목이 나온다. <史記 卷83 鄒陽列傳>

투용장[投龍杖]  비장방이 노옹(老翁)을 하직하고 돌아올 때에 노옹은 대막대 하나를 주며 “이것을 타면 절로 집으로 가게 될 터이니, 도착한 뒤에 칡덩굴 언덕[葛陂]에 던져라.”라고 하였다. 비장방은 과연 그대로 던지고, 돌아본즉 용이었다.

투유객할[投留客轄 손님을 만류하는 것을 말한다. 한 나라 진준(陳遵)이 술을 즐겨 많이 마시고 손님이 당에 가득할 때에 문을 잠그고 손님의 수레바퀴 비녀장을 우물에 갖다 넣어 아무리 급한 일이 있어도 가지 못하게 하였다 한다.

투의성[鬪蟻聲 개미 싸우는 소리란 병들어 신음하는 소리를 가리키는데, 이것은 옛날 진(晉) 나라 은사(殷師)가 있어 개미 싸우는 소리가 소 싸우는 소리처럼 크게 들렸다는 고사에서 나온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