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투벽[投僻] 한(漢) 나라 재상 소하(蕭何)가 전택(田宅)을 마련할 때에는 으레 벽지(僻地)에다 마련하고는 유유자적하였다는 소택벽(蕭宅僻)의 고사가 전한다. <史記 卷53 蕭相國世家>
❏ 투벽진공자[投璧晉公子] 진 공자(晉公子)는 춘추 시대 오패(五霸)의 하나인 문공(文公)을 가리킨다. 문공이 공자로 있을 때 그의 외삼촌 호언(狐偃)과 함께 망명하여 진(秦) 나라에 있었는데, 진 목공(秦穆公)의 힘을 얻어 본국으로 돌아오는 길에 황하에 이르자 호언이 공자에게 구슬을 주면서 “내가 공자를 따라 온 천하를 다니면서 잘못을 많이 저질렀습니다. 이제 작별을 고합니다.” 하니, 문공은 “외삼촌과 마음을 함께 하겠습니다. 저 하수를 두고 맹세합니다.” 하고는 그 구슬을 황하에 던졌다. <左傳 僖公 二十四年>
❏ 투비시호[投畀豺虎] 시경(詩經) 소아(小雅) 항백(巷伯)의 “저 참소하는 자들을 잡아다가, 승냥이와 범에게나 던져 주리라. 승냥이나 범도 먹지 않으면, 저기 북녘 땅에 던져 주리라.[取彼讒人 投畀豺虎 豺虎不食 投畀有北]”라는 말이 있다.
❏ 투사[投梭] 진서(晉書) 사곤전(謝鯤傳)에 “이웃집 고씨(高氏)의 딸이 매우 아름다웠으므로 곤(鯤)이 일찍이 유혹하였었는데, 그 여자가 북을 던져 곤의 이빨 두 개를 부러뜨렸다.”라고 하였다.
❏ 투상부[投湘賦] 한문제(漢文帝) 때 가의(賈誼)가 소인들의 참소를 입어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左遷)되어 가면서 상수(湘水)를 지나다가 초(楚) 나라 충신 굴원(屈原)이 일찍이 상수에 빠져 죽은 것을 불쌍히 여겨 부(賦)를 지어서 상수에 던져 굴원을 조문하면서 자신의 불우(不遇)한 것을 슬퍼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강미[播糠眯], 파개[爬疥], 파경[葩經], 파경상천[破鏡上天], 파경중원[破鏡重圓], 파과지년[破瓜之年] (0) | 2022.09.06 |
---|---|
투핵[投劾], 투향[偸香], 투호제[投壺祭], 특달규장[特達圭璋], 특립독행인[特立獨行人] (0) | 2022.09.02 |
투편[投鞭], 투편단류[投鞭斷流], 투편횡강거[投鞭橫江去], 투필봉후[投筆封侯], 투할[投轄] (0) | 2022.09.02 |
투자[投刺], 투저의[投杼疑], 투전공음정[投錢空飮井], 투체[投遞], 투초희[鬪草戲] (0) | 2022.09.02 |
투서기기[投鼠忌器], 투암암견기[投暗暗見忌], 투유객할[投留客轄], 투의성[鬪蟻聲] (0) | 2022.09.02 |
투도[偸桃], 투동연작[投同燕雀], 투란[鬪卵], 투로[投老], 투료[投醪], 투문구악[投文驅鰐] (0) | 2022.09.02 |
투간동해[投竿東海], 투경참목이[投瓊慙木李], 투계소아[鬪鷄小兒], 투관팽택[投冠彭澤] (0) | 2022.09.02 |
퇴지금시[退之琴詩], 퇴퇴[堆堆], 퇴파묘황양[頹波渺滉漾], 퇴형혹어선언[退熒惑於善言] (0) | 2022.08.31 |
퇴어급류[退於急流], 퇴옥산[頹玉山], 퇴우[退憂], 퇴일과[退日戈], 퇴지경[退之檠] (0) | 2022.08.31 |
퇴고[推敲], 퇴고연백전[推敲捐白戰], 퇴문총[堆文冢], 퇴부[堆阜], 퇴비익[退飛鷁], 퇴식[退食] (0) | 2022.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