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투벽[投僻]  한(漢) 나라 재상 소하(蕭何)가 전택(田宅)을 마련할 때에는 으레 벽지(僻地)에다 마련하고는 유유자적하였다는 소택벽(蕭宅僻)의 고사가 전한다. <史記 卷53 蕭相國世家>

투벽진공자[投璧晉公子]  진 공자(晉公子)는 춘추 시대 오패(五霸)의 하나인 문공(文公)을 가리킨다. 문공이 공자로 있을 때 그의 외삼촌 호언(狐偃)과 함께 망명하여 진(秦) 나라에 있었는데, 진 목공(秦穆公)의 힘을 얻어 본국으로 돌아오는 길에 황하에 이르자 호언이 공자에게 구슬을 주면서 “내가 공자를 따라 온 천하를 다니면서 잘못을 많이 저질렀습니다. 이제 작별을 고합니다.” 하니, 문공은 “외삼촌과 마음을 함께 하겠습니다. 저 하수를 두고 맹세합니다.” 하고는 그 구슬을 황하에 던졌다. <左傳 僖公 二十四年>

투비시호[投畀豺虎]  시경(詩經) 소아(小雅) 항백(巷伯)의 “저 참소하는 자들을 잡아다가, 승냥이와 범에게나 던져 주리라. 승냥이나 범도 먹지 않으면, 저기 북녘 땅에 던져 주리라.[取彼讒人 投畀豺虎 豺虎不食 投畀有北]”라는 말이 있다.

투사[投梭]  진서(晉書) 사곤전(謝鯤傳)에 “이웃집 고씨(高氏)의 딸이 매우 아름다웠으므로 곤(鯤)이 일찍이 유혹하였었는데, 그 여자가 북을 던져 곤의 이빨 두 개를 부러뜨렸다.”라고 하였다.

투상부[投湘賦]  한문제(漢文帝) 때 가의(賈誼)가 소인들의 참소를 입어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좌천(左遷)되어 가면서 상수(湘水)를 지나다가 초(楚) 나라 충신 굴원(屈原)이 일찍이 상수에 빠져 죽은 것을 불쌍히 여겨 부(賦)를 지어서 상수에 던져 굴원을 조문하면서 자신의 불우(不遇)한 것을 슬퍼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