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통적금문[通籍金門] 금문은 금마문(金馬門)의 약칭으로 대궐문을 뜻하고, 통적은 궁문의 명부에 이름이 기록되었다는 뜻인데 한(漢) 나라의 제도에 궁중에 출입하는 사람의 성명·나이·신분 등을 댓조각에 기록하여 궁문밖에 걸어두고 들어오려는 사람에 대해 그것을 근거로 삼아 대조 심사하였다 한다.
❏ 통종[筒糉]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송편처럼 만들어 기름에 지진 떡을 말한다. 전국 시대 때 초(楚) 나라 굴원(屈原)이 5월 5일에 강에 빠져 죽었는데, 사람들이 이날 통종을 강에 던져 넣어 굴원에게 제사 지낸다고 한다. <本草綱目 穀4>
❏ 통중역[通重譯] 먼 지방에서 여러 번 통역을 거쳐 중국에 조회(朝會)하러 온다는 뜻.
❏ 통지천포[通之天苞] 춘추설(春秋說) 제사(題辭)에 “河以通乾出天苞 洛以流坤吐地符”라 하였다.
❏ 통진[通津] 사방을 두루 통할 수 있는 사통팔달의 나루터를 말한다.
❏ 통진[通津] 현직(顯職)과 요직(要職)으로 높은 관직을 말한다.
❏ 통천[通天] 통천은 험준한 산꼭대기의 좁은 길을 이름. 두보(杜甫)의 망악시(望嶽詩)에 “하늘로 통하는 화살 오늬 만한 한 문이 있다.[箭筈通天有一門]”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통천대[通天臺] 미신에 빠져 신선이 되고 싶었던 한무제가 감천궁(甘泉宮) 내에 축조한 고대(高臺)로 높이가 약 50장에 달했다.
❏ 통천서[通天犀] 통천서는 무소의 일종으로 뿔 한가운데 구멍이 하나 길게 뚫린 것을 말하는데, 이 뿔을 띠에 장식하기도 한다.
❏ 통천숭우시[統天崇雨施] 주역(周易) 건괘(乾卦)에 “건원(乾元)은 천(天)을 통(統)하여 구름이 행하고, 비가 베풀어진다.[雲行雨施]”고 하였다.
❏ 통탈[桶脫] 통저탈(桶底脫)의 준말. 불가의 용어임. 설사병을 말하기도 한다.
❏ 통후[通侯] 진나라의 20등작 중 가장 높은 작위로 원래 철후(徹侯)였다가 통후(通侯)로 바뀌고 다시 한 대에 이르러 열후(列侯)로 개칭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도[偸桃], 투동연작[投同燕雀], 투란[鬪卵], 투로[投老], 투료[投醪], 투문구악[投文驅鰐] (0) | 2022.09.02 |
---|---|
투간동해[投竿東海], 투경참목이[投瓊慙木李], 투계소아[鬪鷄小兒], 투관팽택[投冠彭澤] (0) | 2022.09.02 |
퇴지금시[退之琴詩], 퇴퇴[堆堆], 퇴파묘황양[頹波渺滉漾], 퇴형혹어선언[退熒惑於善言] (0) | 2022.08.31 |
퇴어급류[退於急流], 퇴옥산[頹玉山], 퇴우[退憂], 퇴일과[退日戈], 퇴지경[退之檠] (0) | 2022.08.31 |
퇴고[推敲], 퇴고연백전[推敲捐白戰], 퇴문총[堆文冢], 퇴부[堆阜], 퇴비익[退飛鷁], 퇴식[退食] (0) | 2022.08.31 |
통만[統萬], 통문[通文], 통반[筒飯], 통방외[通方外], 통세자황[統世自貺], 통신[通神], 통신담[通身膽] (0) | 2022.08.31 |
톤톤[啍啍], 통가[通家], 통고[通考], 통관규천[通管窺天], 통덕[通德], 통령[通靈] (0) | 2022.08.31 |
토포[土匏], 토포[吐哺], 토포악발[吐哺握髮], 토포착발[吐哺捉髮], 토홍예[吐虹蜺], 토화[土花] (0) | 2022.08.31 |
토저가규규[兎罝歌赳赳], 토좌[土銼], 토찬[吐餐], 토천[免遷], 토탄[土炭], 토탈[兎脫] (0) | 2022.08.31 |
토영삼굴[兎營三窟], 토우[土牛], 토우[土偶], 토원[兎苑], 토원[兎園], 토원책[免園冊] (0) | 2022.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