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만두[土饅頭] 만두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무덤을 말한다.
❏ 토매인우[土昧人遇] 미개하고 어리석은 사람으로 대우한다.
❏ 토모삼굴[兎謀三窟] 토끼는 교활하여 굴을 셋을 만들어 놓고 요리조리 피하면서 몸의 안전을 도모한다는 말이 있다.
❏ 토목[吐木] 불 때는 데 쓰는 잡목을 짧게 잘라 놓은 것. 또는 짧게 잘라 놓은 화목을 말한다.
❏ 토목신[土木身]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하나인 진(晉) 나라 혜강(嵇康)의 몸이 마치 흙덩이와 나무등걸 같았다고 한다.
❏ 토목해[土木骸] 형체를 흙이나 나무처럼 자연스럽게 두고 전혀 꾸미지 않음을 이른 말이다.
❏ 토목형해[土木形骸] 육체를 마치 토목처럼 전혀 꾸미지 않음을 뜻한다.
❏ 토반진갱[土飯塵羹] 흙을 밥으로 삼고 먼지를 국으로 삼음. 한비자(韓非子) 외저설(外儲說)에 “어린이들이 서로 장난할 적에 먼지를 밥이라 하고 진흙을 국이라 한다.[夫嬰兒相與戲也 以塵爲飯 以塗爲羹]”라고 한 말을 전용한 것이다.
❏ 토백[土伯] 후토지후백(后土之侯伯)이다.
❏ 토봉[吐鳳] 뛰어난 문재(文才)를 발휘하여 글을 짓는 것을 말한다. 한(漢) 나라 양웅(揚雄)이 태현경(太玄經)을 지을 때, 봉황이 자신의 입 속에서 튀어나와[吐鳳] 그 책 위에 내려앉는 꿈을 꾸었던 고사가 있다. <西京雜記 卷2>
❏ 토봉[吐鳳] 서경잡기(西京雜記)에 의하면, 한(漢) 나라 양웅(揚雄)이 태현경(太玄經)을 지을 적에 꿈에 흰 봉황새를 뱉아냈다 한다. 그래서 이상은(李商隱)의 시에도 “문하에는 봉새를 뱉는 인재가 많다.[門多吐鳳才]”고 하였다.
❏ 토봉필[吐鳳筆] 문재(文才)가 뛰어남을 뜻한다. 한(漢) 나라 때 양웅(揚雄)이 태현경(太玄經)을 다 저술하고 나서 봉황(鳳凰)을 입으로 토해 내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온 말이다.
❏ 토봉황[吐鳳凰] 봉황을 토해낸다는 것 또한 문장의 재능이 뛰어남을 비유한 것으로, 한(漢) 나라 때 양웅(揚雄)이 태현경(太玄經)을 저술할 적에 봉황을 토해내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만두[土饅頭]~토모삼굴[兎謀三窟]~토목신[土木身]~토반진갱[土飯塵羹]~토봉필[吐鳳筆] (0) | 2022.02.03 |
---|---|
토규[土圭]~토규연맥[兎葵燕麥]~토금인[吐錦茵]~토당[土堂] (0) | 2022.02.03 |
탱리[撑犁]~탱장문자[撑腸文字]~토각귀모[兎角龜毛]~토구[菟裘]~토굴삼[兎窟三] (0) | 2021.12.20 |
택풍당[澤風堂]~택풍대과[澤風大過]~택풍대상[澤風大象]~택학주이[澤壑舟移] (0) | 2021.12.20 |
택상[宅相]~택상양구[澤上羊裘]~택서거[擇壻車]~택우천형[澤虞川衡] (0) | 2021.12.20 |
택반[凙畔]~택반객[澤畔客]~택반고[澤畔枯]~택반음[澤畔吟]~택복견[澤腹堅] (0) | 2021.11.11 |
택거인[澤車人]~택국[澤國]~택궁[澤宮]~택량[澤梁]~택문구[澤門謳] (0) | 2021.11.11 |
태호[太昊]~태호[太皥]~태호전[太湖田]~태화[太和]~태화[泰華] (0) | 2021.11.11 |
태학[太學]~태항거[太行車]~태항지장검[太行之長劍]~태행부재산[太行不在山]~태현경[太玄經] (0) | 2021.10.21 |
태초[泰初]~태초의주[泰初倚柱]~태충[太冲]~태태[棣棣]~태평어람[太平御覽]~태평연월[太平烟月] (0) | 2021.09.29 |
태지[苔紙]~태진[太眞]~태창[泰昌]~태창제미[太倉稊米]~태청가[大淸家] (0) | 2021.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