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증삼살인[曾參殺人] 터무니없는 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되풀이하면 믿지 않을 수 없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증삼이 비(費) 땅에서 살 때 그와 이름이 같은 자가 사람을 죽여 옆 사람이 잘못 알고 증삼의 어머니에게 증삼이 사람을 죽였다고 알렸다. 처음에는 믿지 않고 변함없이 베를 짜고 있다가 나중에 또 두 사람이 계속 와서 알리자 겁이 난 나머지 북을 던져버리고 담을 넘어 도망갔다 한다. 흔히 거짓말이라도 여러 번 들으면 그 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는 비유로 쓰인다. <戰國策 秦二>
❏ 증삼유주육[曾參有酒肉] 부모님을 봉양할 만한 재력이 생겼다는 뜻이다. 증삼은 부모에게 몹시 효성스러웠다.
❏ 증삼투저[曾參投杼] 증삼(曾參)같은 현인이 사람을 죽일 리가 결코 없건마는, 계속 세 차례에 걸쳐 그런 말이 증삼의 어미에게 들려오자, 베를 짜다가 북을 내던지고 도망쳤다는 고사가 전한다. <戰國策 秦策 2>
❏ 증상[增傷] 더욱 마음 아프다.
❏ 증상[烝嘗] 증(烝)은 겨울에 올리는 제사이고, 상(嘗)은 가을에 올리는 제사이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천보(天保)에 “봄 제사, 여름 제사, 가을 제사, 겨울 제사를 선공과 선왕에게 올리니.[禴祠烝嘗 于公于先]”라고 하였다.
❏ 증생진[甑生塵] 워낙 가난하여 밥을 끊일 것이 없어서 시루에 먼지가 쌓인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 증석[曾晳] 증석은 공자(孔子)의 제자이다. 사생(死生)을 달관하여 계무자(季武子)가 병이 위독한데도 그 문에 기대어 서서 노래를 불렀다 한다. <禮記 檀弓下>
❏ 증성[曾城] 전설 속에 나오는, 곤륜산(崑崙山)에 있다고 하는 선향(仙鄕)이다.
❏ 증성구중[增城九重] 아홉 겹의 큰 성. 우임금이 곤륜산을 헐어 홍수를 막고서 그 헌산에 성을 쌓았다는 설이 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개[芝蓋]~지견향[知見香]~지고불윤[脂膏不潤]~지고증불염[脂膏曾不染]~지고포천리[脂膏飽千里] (0) | 2020.10.08 |
---|---|
증형승[證衡僧]~지각[芝閣]~지간[支干]~지간[芝玕]~지강급미[舐糠及米] (0) | 2020.10.08 |
증증효[烝烝孝]~증창승부[憎蒼蠅賦]~증책거역[曾簀遽易]~증처회유[贈處回由]~증타[甑墮] (0) | 2020.10.08 |
증점사슬[曾點捨瑟]~증점슬[曾點瑟]~증제[烝祭]~증제[贈綈] (0) | 2020.10.08 |
증소[橧巢]~증언[贈言]~증예[烝乂]~증유진[甑有塵]~증자[曾子] (0) | 2020.10.08 |
증모혹[曾母惑]~증민[蒸民]~증부[曾敷]~증사[蒸砂]~증삼덕[曾參德] (0) | 2020.10.07 |
증고[增估]~증균[蒸菌]~증리생진[甑裏生塵]~증모[烝髦]~증모애[曾母愛] (0) | 2020.10.07 |
즉묵성외소미우[卽墨城外燒尾牛]~즉어맹[鰂魚盟]~즐풍목우[櫛風沐雨] (0) | 2020.10.07 |
중화요제여[重華堯帝如]~중화절[中和節]~중화척[中和尺]~중훼[仲虺] (0) | 2020.10.07 |
중화[重華]~중화[中和]~중화계방훈[重華繼放勳]~중화오현[重華五絃] (0) | 2020.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