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조유[曹劉] 위(魏) 나라의 조식(曹植)과 유정(劉楨)을 가리킴인데, 이들은 모두 당대의 문장가로서 독특한 문체를 이루어 조유체(曹劉體)가 생기게 되었다.
❏ 조유도사[曹劉陶謝] 조류는 삼국(三國) 시대 위(魏) 나라의 재자(才子)인 조식(曹植)과 유정(劉楨)을 말하고, 도사는 진(晉) 나라 때의 고사인 도잠(陶潛)과 남조(南朝) 송(宋) 나라의 사영운(謝靈運)을 말한다.
❏ 조육[糟肉] 조육은 술과 고기라는 뜻이다.
❏ 조율이시[棗栗梨枾] 제사에 흔히 쓰는 대추·밤·배·감 등의 과실. 또, 제사의 제물을 진설할 때, 왼쪽부터 대추·밤·배·감의 차례로 차리는 격식이다.
❏ 조음[雕陰] 지금의 섬서성 감천현(甘泉縣) 남쪽에 있었던 고을로 위(魏)나라가 황하 이서 지역에 설치한 상군(上郡)의 전략적인 요충지였다.
❏ 조읍[漕邑] 흉년에 백성들을 구제하기 위해 식량을 조운(漕運)하는 고을을 말한다.
❏ 조의[朝儀] 조정(朝廷)의 의식(儀式). 사기(史記) 숙손통전(叔孫通傳)에 “叔孫通說上曰 臣願徵魯諸生 共起朝儀 上曰可”라고 보인다.
❏ 조의루[趙倚樓] 당(唐) 나라의 시인 조하(趙嘏)를 가리킨다. 두목(杜牧)이 조하가 지은 조추시(早秋詩)에 “잔별 몇 개 사이로 기러기 하늘을 날고, 긴 젓대 한 소리에 사람은 누에 기대네.[殘星幾點鴈橫塞 長笛一聲人倚樓]”라는 시구를 몹시 좋아하였는데, 여기에서 의루(倚樓) 두 자를 따서 조의루라고 불렀다 한다.
❏ 조의자대[皁衣頳帶] 조의는 관복(官服)이고 자대는 붉은 띠로서 높은 벼슬을 뜻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조간상기[朝朝看爽氣]~조존[操存]~조종[朝宗]~조주무[趙州無] (0) | 2020.09.23 |
---|---|
조제[雕題]~조제모염[朝薺暮鹽]~조조[調刁]~조조[佻佻]~조조[晁錯] (0) | 2020.09.23 |
조적문계[祖逖聞鷄]~조적편[祖逖鞭]~조정[調鼎]~조정침[朝政沈] (0) | 2020.09.23 |
조자건[曺子建]~조장[助長]~조장준우[雕墻峻宇]~조적[鳥跡] (0) | 2020.09.23 |
조이불망[釣而不網]~조익[蜩翼]~조인[祖印]~조일온[趙日溫]~조일포[朝日袍] (0) | 2020.09.23 |
조운[朝雲]~조운모우[朝雲暮雨]~조원수[調元手]~조위구억손[曹衛久抑損] (0) | 2020.09.23 |
조예[鑿枘]~조오[釣鰲]~조오창명[釣鰲滄溟]~조용[租庸]~조우도[操牛刀] (0) | 2020.09.23 |
조여[曺蜍]~조여이지[曹蜍李志]~조염매[調鹽梅]~조영청담혹자익[照影淸潭或自溺] (0) | 2020.09.23 |
조양자[趙襄子]~조어산성[釣魚山城]~조업[祖業]~조업[曹鄴] (0) | 2020.09.22 |
조악[潮鱷]~조앙[趙鞅]~조야백[照夜白]~조양봉명[朝陽鳳鳴] (0) | 2020.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