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장한범고회순풍[張翰帆高會順風]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가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 나라 때 장한은 낙양(洛陽)에 들어가 동조연(東曹掾)이 되었다가 가을바람이 일어나자 자기 고향인 오중(吳中)의 순채 나물과 농어회가 생각나서 당장 벼슬을 버리고 떠났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장한사[張翰事] ()의 장한(張翰)은 오군(吳郡)사람이었다. 그의 별호가 강동 보병(江東步兵)이었는데, 어느 날 하순(賀循)을 따라 낙양(洛陽)에 와서 벼슬하고 지내다가 갈바람이 일자 자기 고향의 순채국, 농어회가 생각나서 관직을 버리고 오군으로 돌아갔었음. <晉書 卷九十二>

장한흥[張翰興] () 나라 장한이 벼슬살이를 하다가 가을바람이 불어오는 것을 보고는 오중(吳中)의 순채국과 농어회 생각이 나서 말하기를 인생이란 유쾌하게 사는 것이 제일이다.”라 하고, 벼슬을 버린 채 곧바로 고향에 돌아갔던 고사가 있다. <晉書 文苑 張翰傳>

장함석[丈函席] 지팡이를 용납하는 자리로, 후에 스승을 함장이라 일컬었으니 강석(講席)이라는 뜻과 같다.

장해[章亥] 대장(大章)과 수해(豎亥), 모두 전설 속에 나오는 걸음을 잘 걸었던 사람들이다.

장해[藏海] 대장경의 분량이 많음과 뜻이 깊고 넓음을 형용하기 위해 장경의 바다[藏海]라는 뜻에서 한 말이다.

장현소[張玄素] 당 태종(唐太宗) 때 장현소가 시어사(侍御史)를 거쳐 급사중(給事中)으로 있으면서 태종이 낙양궁(洛陽宮)을 수축하려는 데 대해 현소가 상서(上書)하여 극간하자 태종이 그 일을 즉각 중지하였다. <唐書 卷一百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