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장인[長人] 우대(禹代)의 방풍씨(防風氏)라고 한다. 우왕(禹王)이 제후(諸侯)들과 회견(會見)할 때, 방풍이 늦게 도착한 죄로 봉우산(封隅山)을 지키게 했다고 한다. 국어(國語)에 땅을 파는데 뼈가 나와 수레에 실으니, 한수레 가득한지라 혹자(或者)가 공자에게 물으니. “이것은 옛날 봉우산을 지키던 방풍씨의 뼈라 하였다고 되어 있다.

장인사길연희효[丈人師吉演羲爻] 주역(周易) 사괘(師卦)의 괘사(卦辭)군사를 쓰는 도는 곧고 발라야 되니, 장인(丈人; 점잖은 장수)이라면 길하고 허물이 없으리라.”라고 하였다.

장인유옹불수기[丈人有甕不須機] 장인은 노인을 지칭한 말. 자공(子貢)이 진() 나라로 돌아가다가 한음(漢陰)에서 한 노인을 만났는데, 그 노인은 물동이를 안고 우물로 들어가 물은 퍼다가 밭이랑에 물을 주었다. 그런데 힘은 매우 많이 들고 공효는 작아 보이므로, 자공이 그 에게 말하기를 여기에 기계가 있는데 하루에 백이랑의 물을 댈 수가 있습니다.”라고 하니, 그 노인은 버럭 성을 냈다가 곧 웃으면서, 기계가 있으면 반드시 꾀를 부리게 되고 꾀를 부리게 되면 반드시 꾀를 내는 마음이 생기어 순박한 천성을 잃게 되는 것이므로 그것을 쓰지 않는다고 거절한 데서 온 말이다. <莊子 天地>

장인포옹[丈人抱瓮] 자공(子貢)이 한수(漢水)의 남쪽을 지나가다 보니, 때마침 어떤 노인이 밭이랑을 일구기 위하여 우물을 판 다음, 그곳으로 들어가 물동이를 안고 나와서 밭에 물을 대는 일을 되풀이하고 있었는데, 노력에 비하여 공효는 매우 보잘것없는 것을 말한다. <莊子 天地>

장인항[丈人行] 본디 존장자(尊長者)를 일컫는 말인데, () 나라 때 당경(唐庚)의 이월견매시(二月見梅詩)에 의하면 지금 이미 장인항이 되었는데 어찌 연소배와 춘풍을 다투려 하리오.[只今已是丈人行 肯與年少爭春風]”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