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장곡구망[臧穀俱亡] 장(藏)과 곡(穀) 두 사람이 함께 양(羊)을 치다가 모두 양을 잃었는데, 장은 책을 끼고 글을 읽었고, 곡은 쌍륙(雙六)을 치며 놀았으니, 두 사람의 소업(所業)은 같지 않았으나 양을 잃은 것은 마찬가지다라는 말이다. <莊子 騈拇>
❏ 장곡망양[臧穀亡羊] 장자(莊子) 병무(騈拇)에 “장(臧)과 곡(穀)이 함께 염소를 치다가 모두 염소를 잃었다. 장에게 묻기를 ‘무슨 일을 하다가 염소를 잃었느냐’라고 하자 ‘글을 읽었다’라고 하고, 곡에게 ‘무슨 일을 하였느냐’라고 하자 ‘장기를 두고 놀았다’라고 하였다. 두 사람이 한 일은 같지 않았지만 염소를 잃기는 마찬가지다.”라고 하였다.
❏ 장곡숙현[臧穀孰賢] 장(臧)은 노예이고 곡(穀)은 어린아이이다. 노예와 어린아이가 염소를 먹이는데 노예는 책장을 넘기며 글을 읽고 어린아이는 장기를 두며 놀다가 두 사람이 다 그 염소를 잃어버렸다는 데서 나온 것으로, 하는 일은 다르더라도 중요한 것을 잃은 점은 마찬가지라는 뜻이다. 곧 인생의 성패 영욕은 결국 허무하다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장자(莊子) 변무(騈拇)>
❏ 장공[章貢] 강서성(江西省)에 있는 장수(章水)와 공수(貢水)로, 이 물줄기가 합쳐서 감강(贛江)을 이룬다.
❏ 장공[長公] 장공은 송(宋)의 소식(蘇軾)을 말하는데, 소식이 귀양살이하는 동안에 절강(浙江) 이서의 항주(杭州)·호주(湖州) 등 명승지를 두루 구경였다.
❏ 장공[長公] 한(漢) 나라 한연수(韓延壽)의 자(字)이다. 회양(淮陽)·영주(潁州)·동군(東郡) 등의 태수를 역임하는 동안 예의를 숭상하고 옛날 방식의 교화(敎化)를 펼쳐 천하제일의 치행(治行)으로 일컬어졌다. <漢書 卷76>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귀[將歸]~장금수[腸錦繡]~장기론[張機論]~장기부자[莊忌夫子] (0) | 2020.09.07 |
---|---|
장군경병[將軍競病]~장군노불용[將軍老不用]~장군막하연[將軍幕下蓮] (0) | 2020.09.07 |
장곽영[場藿詠]~장구령[張九齡]~장구사운시[長句四韻詩]~장구학[章句學] (0) | 2020.09.07 |
장공예[張公藝]~장공인자[張公忍字]~장공조술[張公操術]~장공조이비[長空鳥已飛] (0) | 2020.09.07 |
장공곡[張公谷]~장공맹[張公盲]~장공사순[張公思蓴]~장공역사[莊公櫟社] (0) | 2020.09.07 |
장경제주[長卿題柱]~장경체[長慶體]~장계응[張季鷹]~장고[張皐]~장고[掌故] (0) | 2020.09.06 |
장경여공[長卿如邛]~장경오훼[長勁烏喙]~장경윤[張京尹] (0) | 2020.09.06 |
장경공[長庚公]~장경로[長卿壚]~장경성[長庚星]~장경순[張景順] (0) | 2020.09.06 |
장경[長慶]~장경[長庚]~장경[長鯨]~장경[長卿] (0) | 2020.09.05 |
장객[掌客]~장거[章擧]~장건구목숙[張騫求苜蓿]~장건궁한[張騫窮漢] (0) | 2020.09.05 |